본문 바로가기
728x90

전체 글143

🖥️09_코드를 완전하게 따지면서 돌려보자 c언어에는 목숨을 걸어야 한다 코드를 완전하게 따지면서 돌려보자. 그런 자세로 가져야 한다. 마우스로 브레이크를 걸어서 해야 하는 습관을 들이자. 2025. 3. 20.
C 오답노트02_산술연산자 & 선택제어문(조건문) //01. 타입의 명시에 대한 간과 그리고 나눗셈 /...위와같은 코드에서 출력된 값은 10.000000이다.이는 변수 c의 타입이 float인데, float은 단순히 소수점이 있다 정도로 이해하고 그냥 주어진 문제풀이에 대해 알량하게만 인식했던 거 같다. float는 소수점 6자리까지 나타낸다는 부분을 당시에는 무시하고, 그저 소수점을 나타낸다 정도로 이해하고 무시했던 거 같다. 피연산자 모두 위의 코드에선 정수이기에, 나눗셈 연산해서 버려지는 것도 정수 부분만 남는다. 나는 '/'를 정수만 해당하기 때문에, 어떤 전혀 상관없는 이론과 섞였는지 이상하게 받아들여지고, 그걸 토대로 코드 해석에 적용했었다. 만약 위의 코드에서 올바르게 출력되도록 한다면, 짚고 넘어갈 개념이 있기에, 다시 되새겨보고자 한다.. 2025. 3. 19.
C오답노트01_출력과 입력 매주 배운 C언어 챕터들 대상으로 테스트를 하는데, 기본이지만 아는 건 확실하게 짚고 넘어가자는 의미에서 위와같은 오답노트를 정리하고자 한다. 언어를 바르게 알기 위해선, 언어만 알아서는 아니된다는 걸 이번 출력과 입력 파트에서 자각하게 됐다. 교수님께서 강조하신 말씀이 있으신데, 이건 두고두고 주문처럼 외어야 할 듯 싶다. 안다고 대충 흘러넘기려는 습관이 가져진 이상 그걸 고치려 노력해야 개발분야에서 에러가 나지 않을테니 말이다. 꼼꼼하게 보는 습관을 들여라!아는데 틀렸다는 건 모르는 거다!두리뭉실하게 아는 것과 확실하게 아는 거는 완전히 다르다! 내가 미처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였거나, 이해하지 못했던 부분들을 추려서 '오답노트'라는 글로 앞으로 포스팅해서 정리하고자 한다.//01. 모든 프로그램은 M.. 2025. 3. 19.
심혈관 생리①_심혈관계 회로 및 심장 전기 생리 심혈관계는 심장(Heart)과 혈관(Blood Vessels)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산소와 영양소를 전신에 공급하고 이산화탄소와 노폐물을 제거하는 순환계로서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심장의 전기적 자극과 기계적 수축을 통해 혈액이 순환하고, 이 과정을 통해 신체의 항상성이 유지된다.01. 심혈관계 회로 (Cardiovascular Circuits)심혈관계는 두 가지 주요 순환 루프인 폐순환과 체순환으로 나뉜다. 이 두 회로는 심장을 중심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서로 상호작용하여 전신으로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고 노폐물을 회수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A. 폐순환(Pulmonary Circulation)순서: 우심실 → 폐동맥 → 폐모세혈관 → 폐정맥 → 좌심방역할: 심장에서 폐로 혈액을 보내어 .. 2025. 3. 18.
내분비생리③_갑상샘호르몬 및 신진대사조절 01. 갑상샘호르몬 (Thyroid Hormones)A. 호르몬 종류 및 기능T3(삼요오드티로닌) & T4(티록신):합성: 요오드를 원료로 갑상샘 여포세포에서 생성되며, T4는 생리적 활성이 낮고 T3로 전환되어 작용한다.기능: 기초대사율(Basal Metabolic Rate)을 증가시키고, 열 발생을 촉진하며, 단백질 및 지질 대사를 활성화한다. 심혈관계와 신경계 기능도 조절하며, 성장과 발달 특히 태아와 유아기 중추신경계 형성에 필수적이다. B. 분비 조절시상하부의 TRH → 뇌하수체 전엽의 TSH → 갑상샘의 T3, T4 분비혈중 T3, T4 농도가 높아지면 TRH 및 TSH 분비 억제 (음성 피드백) C. 질환 관련갑상샘기능항진증(Graves' disease 등): 대사율 증가, 체중 감소, 빈맥.. 2025. 3. 16.
내분비생리②_뇌하수체 호르몬 01. 시상하부-뇌하수체 관계 (Hypothalamus-Pituitary Relationship)시상하부는 중추신경계의 일부로, 신체의 항상성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체온, 갈증, 식욕, 생체 리듬 등을 조절한다. 특히, 내분비 기능과 관련하여 뇌하수체를 조절하는 기능이 중요하다. 뇌하수체는 시상하부의 신호를 받아 호르몬을 분비하며, 이 호르몬들은 다양한 표적 기관에서 작용한다. A. 시상하부와 뇌하수체 전엽의 관계시상하부는 뇌하수체 문맥(Hypophyseal Portal System)을 통해 뇌하수체 전엽을 조절한다.시상하부에서 특정 호르몬을 분비하여 전엽의 내분비세포를 자극하거나 억제한다.조절 호르몬 예시:갑상선자극호르몬 방출호르몬(TRH): TSH 분비 유도 → 갑상선 자극성장호르몬 방출호르몬(G.. 2025. 3. 15.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