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인테리어디자이너5

🎨04_디자인에서 배운 균형과 방향성 디자인 작업을 하며 자주 받았던 지적 중 하나는 아이디어의 적용과 균형에 대한 부분이다. 디자인 아이디어가 떠올랐을 때, 단순히 좋은 생각이 아니라 어디에, 어떻게 적용할지를 깊이 고민해야 한다. 과도하게 욕심을 내어 두 가지 이상의 아이디어를 한 공간에 담으려 하면 오히려 전체적인 조화를 해칠 수 있다.때로는 비움 자체도 디자인이다. 모던한 디자인은 단순하지만, 그 심플함 속에서 완성된 조화를 만들어낸다. 이런 심플한 요소들은 다른 사물과도 자연스럽게 어우러져 공간의 균형을 잡아준다.반대로, 특정 요소가 지나치게 눈에 띄면 그 요소를 살리거나 주변과의 조화를 이루는 데 고민이 필요하다.주거 공간과 상업 공간을 오가며 작업하는 일은 생각보다 어렵다. 주거 공간은 각기 다른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해야 하며, .. 2025. 2. 16.
🎨03_상대의 입장에서 생각하기 가구 발주 과정에서 중요한 교훈을 얻었다. 디자이너 입장에서 생각하기에는 충분히 전달되었다고 여겼던 내용이, 막상 목수분들께는 명확하지 않을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 것이다. 이 과정에서 사장님께서 해주신 말씀이 깊은 인상을 남겼다.  상대가 내 것을 이해해주길 바란다는 생각은 위험하다.어떻게 하면 상대가 이해할 수 있을지를 고민해야 한다. 발주 과정은 단순히 지시를 내리는 것이 아니라, 상대방이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의사소통 방식을 고민하는 과정임을 다시금 느꼈다. 발주서에 들어가는 정보 하나하나가 구체적이고 명확해야 하며, 상대방의 입장에서 이를 어떻게 받아들일지 끊임없이 점검해야 한다.이번 경험은 직장에서 그리고 인테리어라는 분야에서 ‘상대방의 입장에서 생각하기’라는 두 번째 중요한 공부 키.. 2025. 2. 9.
🎨02_현장에서 배우는 것들 오늘 현장에서 사장님과 현장 팀장님이 전문 기술자들과 소통하는 모습을 보았다. 이 과정에서 전문가의 일을 이해시키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다시금 느꼈다.특히, 현장에서 일하는 사람들의 역할을 가볍게 여기지 않아야 한다는 점이 인상 깊었다. 밑에서 묵묵히 일하는 사람들이 없으면 위에서 아무리 뛰어난 계획을 세워도 실현될 수 없다는 사실을 다시 깨닫게 되었다.배수와 하수 구조를 다시 살펴보는 기회도 가졌다. 생수관과 하수관이 서로 가까운 곳에 존재하면서도 절대 직접 만나지 않는 것을 보며, 물리적으로는 가깝지만 기능적으로는 철저히 분리된 관계가 존재한다는 점이 흥미로웠다.도면 작업의 중요성도 새삼 실감했다. 하나의 프로젝트를 위해 여러 가지 도면이 필요하며, 전체적인 설계를 담은 도면과 개별 요소를 세밀하게.. 2025. 2. 2.
🎨01_이자카야 인테리어 현장을 다시 찾다 오늘 다시 이자카야 인테리어 현장을 방문했다. 이번에는 배수설비팀과 철거팀이 동시에 작업하는 날이었다. 현장을 둘러보면서 문득 떠올랐다.건축 현장의 배수관, 전기 배선, 통신망 같은 요소들은 마치 인체 해부도를 보는 느낌이다. 수도가 어떻게 건물까지 공급되는지, 전기가 어떤 경로를 따라 흐르는지 등 큰 흐름을 이해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건물의 전체적인 운용 방식이 보인다.마치 나무에서 숲을 바라본 뒤, 다시 나무의 내부 구조를 탐구하는 과정과 같다. 그리고 이 과정을 반복하다 보면, 다양한 ‘나무의 종류’ 즉, 건축 자재와 설비의 특성들도 점점 더 빠르게 파악할 수 있는 안목이 생긴다. 이러한 경험들은 단순히 인테리어 디자인을 넘어서, 건축 전반의 시스템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단순한 디자인.. 2025. 1. 26.
실내디자인 일반 1. 실내디자인이란?실내디자인은 단순한 공간 장식이 아니라, 사용자의 생활과 직결되는 공간을 기능적으로 구성하는 작업이다. 이론적으로는 심미성, 기능성, 경제성, 개성이 중요하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현실적인 요소들이 더 크게 작용한다. 클라이언트의 요구, 예산, 시공 가능성 등을 면밀히 고려해야 하며, 디자인과 시공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한다.2. 실무에서 중요한 실내디자인 조건1) 공간 활용도클라이언트의 사용 목적과 동선을 정확히 파악하고 설계해야 한다.가구 배치와 수납 계획을 고려하여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해야 한다.작은 공간일수록 동선과 배치의 효율성이 중요하며, 이를 극대화하는 설계가 필요하다. 2) 시공 가능성설계가 아무리 훌륭해도 시공이 어렵다면 무용지물이다.자재 수급과 공정 일정을 고려하여.. 2025. 1. 25.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