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인테리어디자인28 디자이너로서의 성장의 기록 디자인이라는 작업은 단순히 예쁜 공간을 만드는 게 아니라, 실용성과 조화를 고민하는 일이라는 걸 다시금 느낀다. 현장에서 배운 것들을 정리해보면, 내 성장 과정이 눈에 보이는 것 같다. 가구 발주 – 명확한 소통이 중요하다가구 발주는 생각보다 복잡하다. 디자인한 대로 전달했다고 생각했지만, 막상 현장에서 목수들이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 정도면 알겠지’라는 안일한 생각을 버리고, 어떻게 하면 상대가 쉽게 이해할 수 있을까? 고민해야 한다. 치수 하나, 재질 하나까지도 명확히 기록하고 전달하는 것이 결국 최상의 결과를 만든다. 자료 정리 – 흐름을 놓치지 않기 위한 습관자료 정리는 단순한 정리가 아니다. 프로젝트의 흐름을 놓치지 않기 위한 필수 과정이다. 설계 도면, 가구 리스트, 자재 .. 2025. 3. 6. 인간의 감각과 조명 조명디자인은 단순히 공간을 밝히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감각과 심리, 작업 효율, 안전성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인테리어 디자인에서 조명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려면 인간의 시각적 특성을 고려하고, 심리적 영향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1. 인간의 감각과 빛A. 눈의 구조와 기능우리의 눈은 외부의 빛을 받아들이고, 이를 대뇌로 전달하여 시각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인간이 경험하는 정보의 80~90%는 시각을 통해 얻어지며, 조명 환경에 따라 시각적 경험이 크게 달라질 수 있다.눈의 주요 구조는 다음과 같다.각막(Cornea): 외부 빛을 받아들이는 첫 번째 부분으로, 빛을 굴절시켜 눈 안으로 들어가게 한다.홍채(Iris)와 동공(Pupil): 빛의 양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밝은 곳에서는 동공이 작아지고.. 2025. 2. 25. 가구 디자인의 원리 가구 디자인의 원리는 공간과 조화를 이루고 기능성을 극대화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좋은 가구 디자인은 단순히 미적인 요소를 넘어 사용자의 편안함과 공간의 활용성을 극대화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인테리어 디자인과 함께 고려될 때 최적의 결과를 도출할 수 있으며, 현대 디자인에서는 기술 융합과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 UX)이 중요한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다. 가구 디자인의 핵심 원리는 비례와 균형, 대비와 통일, 사용자 경험(UX) 고려으로 구분할 수 있다.1. 비례와 균형비례(Proportion)와 균형(Balance)은 가구 디자인의 가장 기본적인 원리로, 가구와 공간이 조화를 이루기 위해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요소이다.비례(Proportion): 가구의 크기와 형태가 주변 공간과 어울.. 2025. 2. 24. 인간행동 관계 공간은 단순한 물리적 구조가 아니라, 인간의 행동과 감정에 깊은 영향을 미치는 요소다. 환경심리학과 행동과학에서는 환경과 인간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며,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인테리어 디자인이 가능하다.1. 공간과 인간행동의 관계를 설명하는 주요 이론 A. 루인의 장 이론루인의 장 이론(Lewin's Field Theory)에 따르면, 인간의 행동은 내적인 요인(감정, 욕구)과 외부 환경 요인의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된다. 가령, 갈증을 느낀 사람은 물이 있는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경향이 있다. 이때, 물이 놓인 위치, 공간의 개방성, 동선의 편리성 등이 행동을 좌우한다. 인테리어 디자인 적용:카페나 레스토랑에서 음료 주문대와 좌석 배치병원 대기실에서 환자 동선을 고려한 공간 배치쇼핑몰에서 특정 제품 코너로 .. 2025. 2. 20. 정보이론_Information Theory 1. 정보 이론이란?정보 이론(Information Theory)은 정보를 효율적으로 전달하고 처리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데이터의 저장, 전송, 해석과 관련된 원리를 다룬다. 이는 인간과 환경 간의 상호작용을 설계할 때 중요한 요소이며, 효율적인 정보 전달을 통해 사용자의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정보 이론은 통신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특히 인간공학과 설계에서는 정보의 명확성과 가독성을 높여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2. 정보 이론의 핵심 개념정보 이론의 주요 개념을 이해하면 보다 효과적인 환경 설계를 할 수 있다. A. 엔트로피엔트로피(Entropy)는 정보의 불확실성을 측정하는 개념으로, 메시지의 예측 가능성과 관련이 있다. 불확실성이 높을수.. 2025. 2. 19. 실내디자인 요소 1. 실내디자인 요소란?실내디자인 요소는 공간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구조로, 실내 환경의 기능성과 심미성을 결정짓는 핵심 요소다. 바닥, 천장, 벽, 기둥, 보, 개구부(창, 문 등)와 같은 물리적 요소뿐만 아니라 색채, 질감, 조명 등의 요소도 포함된다. 이론적으로는 공간을 구성하는 기본 단위이지만, 실무에서는 시공 가능성, 유지보수, 비용, 사용자 경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실내디자인에서 중요한 것은 단순히 미적 요소가 아니라 공간의 활용성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따라서 디자인을 계획할 때, 해당 요소들이 어떻게 배치되고 활용되는지를 구체적으로 고려해야 한다.2. 주요 실내디자인 요소 및 실무 적용 A. 바닥(Floor)바닥의 특징공간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수평적 요소이며, 실내 분위기와 사용감.. 2025. 2. 17. 이전 1 2 3 4 5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