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의생명공학/면역10

B세포의 발달과 활성 B세포는 체액성 면역(humoral immunity)의 핵심 역할을 담당하는 면역세포로, 항체를 생성하여 병원체를 제거하는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B세포는 골수에서 생성 및 성숙한 후, 2차 면역기관에서 항원을 만나 활성화되며, 이후 형질세포(Plasma Cell)나 기억 B세포(Memory B Cell)로 분화한다.1. B세포의 발달 과정A. B세포의 생성과 성숙B세포는 골수(Bone Marrow)에서 생성되며, 골수 기질세포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성숙이 진행된다.B세포의 발달 단계는 다음과 같다. 단계 특징 주요 과정 Pro-B세포중쇄 유전자 재배열 시작Ig 중쇄(Heavy Chain) 재조합Pre-B세포중쇄 발현 및 경쇄 재배열Pre-BCR 형성, 경쇄 재조합 시작미성숙 B세포완전한 BCR 발현.. 2025. 3. 12.
T세포의 발달과 활성 T세포는 세포성 면역을 담당하는 핵심 면역세포로, 병원체 감염 세포를 직접 제거하거나 다른 면역세포의 활성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T세포는 골수에서 생성된 후 흉선(thymus)에서 성숙하며, 양성선택과 음성선택을 통해 적절한 면역 반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조정된다.1. T세포의 발달 과정A. T세포의 생성과 이동T세포는 골수에서 생성되지만 성숙하기 위해 흉선으로 이동한다.흉선에서는 T세포 수용체(TCR) 유전자 재조합과 MHC 제한(MHC restriction) 과정을 거친다.성숙한 T세포는 혈액과 림프계를 통해 말초 조직(2차 림프기관)으로 이동하여 면역 반응을 수행한다. B. 흉선에서의 T세포 성숙 과정T세포 전구체는 흉선으로 들어온 후 단계적인 변화를 거친다.이중음성(DN, Double Nega.. 2025. 3. 11.
항원 수용체 우리 몸의 면역 시스템은 침입한 병원체를 정확히 인식하고 제거하기 위해 항원 수용체(Antigen Receptor, AR)를 활용한다. 항원 수용체는 B세포 수용체(BCR)와 T세포 수용체(TCR)로 나뉘며, 이들은 각각 체액성 면역과 세포성 면역을 담당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항원 수용체는 유전자 재조합 과정을 통해 엄청난 다양성을 가지며, 면역 반응의 정밀성을 높인다.1. 항원 수용체란?항원 수용체는 B세포와 T세포가 각각 항원을 인식하는 단백질이다.B세포 수용체(BCR, B Cell Receptor): 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막결합형 항체(mIg)이며, 항원을 직접 인식하고 결합할 수 있다.T세포 수용체(TCR, T Cell Receptor): 항원제시세포(APC)가 MHC 분자를 통해 제시한 항원.. 2025. 3. 10.
주조직적합성 항원(MHC)과 항원제시 1. 주조직적합성 항원이란?주조직적합성 항원(MHC, 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은 면역 반응에서 항원을 T세포에 제시하는 핵심 역할을 하는 당단백질 복합체이다. MHC는 감염된 세포를 인식하고 면역세포를 활성화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며, 조직이식의 성공 여부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기도 하다. MHC는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MHC class I: 모든 유핵세포에서 발현되며, 내인성 항원(바이러스 감염 단백질, 종양 단백질)을 CD8+ T세포(세포독성 T세포, Tc)에 제시하여 감염된 세포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MHC class II: 항원제시세포(APC)인 대식세포, 수지상세포, B세포에서 발현되며, 외인성 항원(세균, 기생충 등 외부에서 유입된 단.. 2025. 3. 9.
보체계_Complement System 1. 보체계란?보체(complement)란 혈장 내 존재하는 단백질군으로, 선천면역과 적응면역을 조율하며 병원체 제거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생체 방어 기전이다. 보체는 불활성 상태(zymogen)로 존재하며, 특정 자극에 의해 연쇄적으로 활성화된다.보체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병원체 용해 (막공격복합체, MAC 형성)염증 반응 조절옵소닌화 (Opsonization) 및 탐식 촉진면역복합체 제거보체는 간세포에서 주로 생성되며, 단핵세포, 대식세포, 위장관 및 비뇨생식기 상피세포에서도 일부 생성된다. 혈장 내 총 단백질의 약 5%를 차지하며, 대부분 불활성 상태로 존재하다가 효소 연쇄반응을 통해 활성화된다.2. 보체 시스템의 역사보체의 발견은 1890년대 프랑스의 Jules Bordet 실험에서 시작되었.. 2025. 3. 8.
항원-항체 상호반응 1. 항원-항체 반응이란?항원-항체 상호반응이란 항체(면역글로불린, Ig)가 특정 항원과 결합하여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과정이다. 이 반응은 신체가 외부 병원체(세균, 바이러스, 기생충 등)나 독소를 인식하고 제거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항체는 특이적으로 항원과 결합하며, 이를 통해 중화, 옵소닌화, 보체 활성화 등의 다양한 면역 반응이 일어난다. 항원-항체 결합의 강도는 결합력(affinity)과 친화력(avidity)에 의해 결정된다.항원-항체 결합력의 주요 기작항체와 항원이 결합하는 과정은 비공유 결합으로 이루어지며, 주요 기작은 다음과 같다.수소 결합 (Hydrogen bond) – 항원과 항체 사이의 전기적 극성에 의해 형성됨정전기적 인력 (Electrostatic interaction).. 2025. 3. 7.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