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의생명공학/면역10

항원과 항체_Antigen & Antibody 1. 항원이란? 항원(Antigen)이란 면역 반응을 유도하거나 항체와 결합할 수 있는 모든 물질을 의미한다. 항원은 외부에서 유입된 병원체(세균, 바이러스, 기생충)뿐만 아니라, 독소, 화학물질, 특정 단백질 등도 포함된다. 항원의 주요 개념면역원(Immunogen):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물질로, 항체 생성이 가능하다.항원결정기(Epitope): 항원의 특정 부분으로, 면역세포나 항체가 인식하는 부위이다. 항원결정기는 B세포와 T세포가 각각 다르게 인식하는데, B세포는 외부로 노출된 가용성 항원을 인식하고, T세포는 분해된 펩티드 조각을 MHC 분자와 복합체로 인식한다.불완전 항원(Hapten): 단독으로는 면역 반응을 유도할 수 없지만, 운반체 단백질과 결합하면 면역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물질이다.. 2025. 2. 8.
선천면역_Innate Immunity 1. 선천면역이란? 선천면역(Innate Immunity)은 병원체의 침입을 즉각적으로 방어하는 신체의 첫 번째 방어선이다. 이는 비특이적이며 즉각적인 반응을 나타내며, 병원체가 신체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신속하게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선천면역과 적응면역의 비교구분선천면역적응면역반응 속도즉각(수분~수시간)느림(수일 소요)특이성비특이적특이적 (항원에 대한 인식)면역 기억없음존재 (재감염 시 신속한 반응)주요 세포호중구, 대식세포, 자연살해세포(NK)T세포, B세포주요 분자보체, 항미생물 펩티드, 싸이토카인항체, 사이토카인2. 선천면역의 주요 구성 요소A. 물리적·화학적 장벽피부와 점막: 외부 병원체의 침입을 방어하는 1차 방어선점액과 섬모: 호흡기 및 소화기에서 병원체 제거항미생물 펩티드: 라이소자.. 2025. 2. 1.
면역세포 및 면역기관 1. 면역세포란? 면역세포는 병원체로부터 몸을 보호하고 면역 반응을 조절하는 주요 구성 요소이다. 이러한 세포들은 조혈줄기세포(HSC, Hematopoietic Stem Cell)에서 유래하며, 두 개의 주요 계통으로 분화된다. 골수계 전구세포(Myeloid Progenitor)에서 유래하는 세포: 대식세포, 과립세포(호중구, 호산구, 호염기구), 비만세포, 수지상세포 등림프계 전구세포(Lymphoid Progenitor)에서 유래하는 세포: T세포, B세포, NK세포2. 주요 면역세포A. 대식세포 (Macrophage)대식세포는 조직 특이적으로 존재하며, 이들의 주요 기능은 병원체 탐식, 항원 제시, 염증 조절이다.조직별 명칭: 조직구(일반 조직), 폐포대식세포(폐), 쿠퍼세포(간), 소교세포(뇌), .. 2025. 1. 25.
면역학 개요_Immunology Overview 1. 면역이란?면역은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위험으로부터 우리 몸을 보호하는 방어 시스템이다. 면역계는 병원체(세균, 바이러스 등)에 대한 방어뿐만 아니라 자가면역 질환을 방지하고 장기 이식 시 면역 거부 반응에도 관여한다.면역계의 주요 구성 요소면역 기관: 골수, 가슴샘, 림프절, 비장 등면역세포: 대식세포(macrophage), 수지상세포(dendritic cell), T세포(T cell), B세포(B cell) 등면역 반응: 선천면역과 적응면역2. 선천면역 vs. 적응면역선천면역 (Innate Immunity)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선천면역을 갖추고 있으며, 이는 외부 병원체로부터 신속한 방어를 가능하게 한다. 피부와 점막이 1차 방어선을 이루며, 대식세포와 수지상세포가 병원체를 탐식하고 이를 제.. 2025. 1. 19.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