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생명공학/면역

면역세포 및 면역기관

by 오머리쿠_OmaryKoo 2025. 1. 25.

1. 면역세포란?

이미지출처_Hematopoietic stem cell - Wikipedia

 

면역세포는 병원체로부터 몸을 보호하고 면역 반응을 조절하는 주요 구성 요소이다. 이러한 세포들은 조혈줄기세포(HSC, Hematopoietic Stem Cell)에서 유래하며, 두 개의 주요 계통으로 분화된다.

 

  • 골수계 전구세포(Myeloid Progenitor)에서 유래하는 세포: 대식세포, 과립세포(호중구, 호산구, 호염기구), 비만세포, 수지상세포
  • 림프계 전구세포(Lymphoid Progenitor)에서 유래하는 세포: T세포, B세포, NK세포

2. 주요 면역세포

A. 대식세포 (Macrophage)

이미지출처_Macrophage - Definition, Structure, Mechanism, Functions - Biology Notes Online

대식세포는 조직 특이적으로 존재하며, 이들의 주요 기능은 병원체 탐식, 항원 제시, 염증 조절이다.

  • 조직별 명칭: 조직구(일반 조직), 폐포대식세포(폐), 쿠퍼세포(간), 소교세포(뇌), 파골세포(뼈)
  • 탐식 작용(Phagocytosis): 병원체를 포획 후 리소좀과 결합하여 제거함
  • 항원제시 기능: 적응면역 유도를 위해 T세포에 항원을 제시함
  • 면역 반응 조절: 싸이토카인과 케모카인을 분비하여 염증반응 조절

 

B. 과립세포 (Granulocytes)

이미지출처_What is Granulocyte Receptor- CUSABIO

 

과립세포는 세포질 내에 과립을 가지고 있으며, 각기 다른 면역 반응을 수행한다.

  • 호중구 (Neutrophil): 병원체 탐식 및 급성염증 반응을 담당 (순환 백혈구 중 50~70%)
  • 호산구 (Eosinophil): 기생충 감염 및 알러지 반응에 관여하며, 세포독성 단백질을 방출하여 기생충 제거
  • 호염기구 (Basophil): 알러지 반응과 히스타민 방출을 담당하며, 염증반응을 증폭하는 역할 수행

 

C. 비만세포 (Mast Cell)

이미지출처_Understanding mast cells as a powerful target for treating allergic and inflammatory diseases ❘ Blueprint Medicines

  • 혈액에서는 비활성 상태이며, 조직으로 이동한 후 활성화됨
  • 알러지 반응 및 염증 매개 역할 수행 (히스타민 분비)
  • 주요 기능: 외부 항원에 반응하여 즉각적인 면역반응을 유발하고, IgE 항체와 결합하여 알러지 반응을 조절

 

D. 수지상세포 (Dendritic Cell, DC)

이미지출처_What are Dendritic Cells?

  • 항원제시세포(APC)로 작용하며, T세포 활성화에 중요한 역할 수행
  • 위치별 주요 수지상세포:
    • 랑게르한스 세포 (피부)
    • 간질성 수지상세포 (전신 조직)
    • 소포 수지상세포 (림프절 내 B세포 활성화 유도)
    • 단핵세포 유래 수지상세포 (혈액에서 조직으로 이동한 단핵세포에서 발생)

 

E. 림프구 (Lymphocytes)

이미지출처_Get an Overview of Lymphocytes Cytokines- CUSABIO

 

림프구는 적응면역을 담당하는 핵심 세포이다.

  • T세포 (T Cell): 세포성 면역 담당
    • 세포독성 T세포 (Cytotoxic T Cell, Tc): 바이러스 감염 세포 직접 제거
    • 보조 T세포 (Helper T Cell, Th): B세포 및 다른 면역세포 활성화
    • 조절 T세포 (Regulatory T Cell, Treg): 면역 과잉 반응 억제
  • B세포 (B Cell): 항체를 생성하는 체액성 면역 담당
    • 형질세포(Plasma Cell): 항체 생산
    • 기억 B세포 (Memory B Cell): 항원에 대한 기억 형성 및 2차 면역 반응 조절
  • 자연살해세포 (Natural Killer Cell, NK Cell): 비특이적으로 바이러스 감염 세포 및 암세포 제거

3. 면역기관

면역기관은 면역세포가 생성되고 성숙하며 활성화되는 장소로, 1차 면역기관과 2차 면역기관으로 구분된다.

이미지출처_Immunology Laboratory: Basic Concepts

A. 1차 면역기관 (면역세포 생성 및 성숙)

  • 골수 (Bone Marrow): 모든 혈액세포가 생성되는 기관이며, B세포가 성숙하는 곳
  • 흉선 (Thymus): T세포가 성숙하는 기관이며, 자가면역반응을 방지하기 위한 음성 선택 과정이 이루어짐

 

B. 2차 면역기관 (면역세포 활성화 및 면역 반응 수행)

  • 림프절 (Lymph Node):
    • 림프액 내 항원을 감지하고 면역세포를 활성화
    • T세포와 B세포가 특정 영역에 위치하여 면역 반응 조율
    • 감염 부위에서 유래한 항원이 림프절로 유입되어 면역세포를 활성화함
  • 비장 (Spleen):
    • 혈액 내 항원을 제거하는 주요 면역기관
    • 백색수질(T세포, B세포 위치)과 적색수질(손상된 적혈구 제거)로 구분됨
    • 비장 내 특정 세포들은 혈액 내 병원체를 신속하게 탐지하여 반응을 유도함
  • 피부 및 점막 면역계:
    • 피부: 각질세포, 랑게르한스세포, 표피 T세포가 존재하여 1차 방어
    • 점막: 파이어반(Peyer’s patch)이 존재하여 소화관 면역 반응 조절하며, 장내 미생물과 상호작용을 통해 면역 균형을 유지함

4. 면역계의 기능 조율

면역세포와 기관들은 서로 협력하여 신체를 보호한다.

 

선천면역세포 (대식세포, 호중구, NK세포)는 초기 방어 역할을 수행

 

수지상세포가 항원을 제시하여 적응면역을 활성화

 

T세포와 B세포가 특이적 면역반응을 수행

 

기억세포 형성으로 인해 동일 병원체에 대한 빠른 반응 가능

 

조절 T세포 및 사이토카인 네트워크를 통해 과도한 면역 반응을 억제하며 항상성을 유지함


<출  처>

 

 

Hematopoietic stem cell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Stem cells that give rise to other blood cells Hematopoietic stem cells (HSCs) are the stem cells[1] that give rise to other blood cells. This process is called haematopoiesis.[2] In vertebrates, the first definitive H

en.wikipedia.org

 

 

 

Macrophage - Definition, Structure, Mechanism, Functions - Biology Notes Online

A macrophage is a type of white blood cell found in the immune system, known for its ability to engulf and digest cellular debris, foreign substances, and

biologynotesonline.com

 

What is Granulocyte Receptor- CUSABIO

 

 

What are Dendritic Cells?

Dendritic cells are a type of antigen-presenting cell (APC) that form an important role in the adaptive immune system.

www.news-medical.net

 

Get an Overview of Lymphocytes Cytokines- CUSABIO

 

 

Immunology Laboratory: Basic Concepts

Your browser does not support script Immunology Laboratory Basic Concepts   When a foreign antigen is introduced into an animal, the animal will respond immunologically to it. Innate (natural) responses occur as many times the foreign agent is encountered

www.medicine.mcgill.ca

 


 

 

염증_inflammation

염증이란 무엇인가?염증(inflammation)은 신체가 손상을 입었을 때 이를 회복하기 위한 방어 반응이다. 외부 병원균, 물리적 손상, 화학물질, 자가면역 반응 등의 자극으로 인해 발생하며, 면역 세포

omarykoo.tistory.com

 

728x90

'의생명공학 > 면역'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체계_Complement System  (2) 2025.03.08
항원-항체 상호반응  (0) 2025.03.07
항원과 항체_Antigen & Antibody  (1) 2025.02.08
선천면역_Innate Immunity  (0) 2025.02.01
면역학 개요_Immunology Overview  (0) 2025.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