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생명공학/면역

선천면역_Innate Immunity

by 오머리쿠_OmaryKoo 2025. 2. 1.

1. 선천면역이란?

이미지출처_Innate Immunity: Description, Functions and Facts - Microbiology Notes

 
선천면역(Innate Immunity)은 병원체의 침입을 즉각적으로 방어하는 신체의 첫 번째 방어선이다. 이는 비특이적이며 즉각적인 반응을 나타내며, 병원체가 신체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신속하게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선천면역과 적응면역의 비교

구분선천면역적응면역
반응 속도즉각(수분~수시간)느림(수일 소요)
특이성비특이적특이적 (항원에 대한 인식)
면역 기억없음존재 (재감염 시 신속한 반응)
주요 세포호중구, 대식세포, 자연살해세포(NK)T세포, B세포
주요 분자보체, 항미생물 펩티드, 싸이토카인항체, 사이토카인

2. 선천면역의 주요 구성 요소

A. 물리적·화학적 장벽

  • 피부와 점막: 외부 병원체의 침입을 방어하는 1차 방어선
  • 점액과 섬모: 호흡기 및 소화기에서 병원체 제거
  • 항미생물 펩티드: 라이소자임(눈물, 침), 디펜신(장내, 호흡기 점막), 카텔리시딘(피부) 등이 병원체를 직접 사멸

 

B. 선천면역세포

호중구 (Neutrophil)

이미지출처_호중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가장 풍부한 백혈구 (50~70%)이며, 감염 부위로 빠르게 이동하여 병원체를 탐식하고 제거
  • 산화적 살균법: 활성산소종(ROS)과 질소산화물(RNS)을 생성하여 병원체 사멸
  • 비산화적 살균법: 라이소자임, 디펜신 등 항균 단백질을 활용하여 병원체 제거

 

대식세포 (Macrophage)

이미지출처_Monocytes and Macrophages: Macrophage and Monocyte Function, Origin and Related Conditions ❘ Technology Networks
  • 조직에 존재하며, 병원체를 탐식하고 항원을 적응면역세포(T세포)에 제시하는 역할
  • 보체 단백질과 옵소닌화된 미생물을 효율적으로 탐식
  • 감염 부위에서 싸이토카인(IL-1, TNF-α) 방출하여 염증 반응 유도

 

자연살해세포 (NK Cell)

이미지출처_Natural killer cell - Wikipedia
  • 바이러스 감염 세포와 종양 세포를 직접 제거
  • MHC class I 발현 감소 여부로 감염 세포를 구별
  • IFN-γ와 TNF-α 분비를 통해 면역 반응 활성화

3. 패턴인식수용체(PRR)와 병원체 인식

선천면역세포는 패턴인식수용체(PRR, Pattern Recognition Receptor)를 통해 병원체의 특정한 분자 패턴을 인식한다.
 

이미지출처_Schematic of the TLR, RLR, and NLR antiviral protein signaling cascades... ❘ Download Scientific Diagram
이미지출처_Scavenger receptors in host defense: from functional aspects to mode of action ❘ Cell Communication and Signaling ❘ Full Text

 

PRR의 주요 종류

PRR 유형인식하는 병원체 분자 패턴(PAMP)
TLR (Toll-like receptor)바이러스 핵산, 세균 LPS
NLR (NOD-like receptor)세균 세포벽 성분
RLR (RIG-I-like receptor)바이러스 RNA
SR (Scavenger receptor)죽은 세포 및 박테리아 탐식

4. 보체 시스템과 선천면역

보체 시스템(Complementary System)은 혈장에 존재하는 약 30여 개의 단백질로 이루어진 면역 기작으로, 병원체를 직접 공격하거나 면역세포의 활성을 돕는 역할을 한다. 보체 단백질은 간에서 생성되며, 혈액을 통해 순환하면서 감염 부위에서 활성화된다.보체 시스템은 세 가지 주요 경로를 통해 활성화된다.

이미지출처_How Does Complement System Work? - Creative Biolabs

 

  1. 고전 경로(Classical Pathway): 항체(IgG, IgM)가 병원체와 결합하여 보체 단백질(C1)을 활성화
  2. 대체 경로(Alternative Pathway): 병원체 표면에 직접 보체 단백질이 결합하여 활성화
  3. 렉틴 경로(Lectin Pathway): 병원체의 당잔기와 결합하는 MBL(맨노스 결합 렉틴)이 보체를 활성화

 

보체의 주요 기능

  • 옵소닌화 (Opsonization): C3b 단백질이 병원체 표면에 부착하여 탐식 촉진
  • 막공격복합체(MAC) 형성: C5b-C9 단백질이 결합하여 병원체 세포막을 파괴
  • 염증 반응 유도: C3a, C4a, C5a가 백혈구를 감염 부위로 유도하고 염증을 촉진
  • 면역복합체 제거: 보체 단백질이 항원-항체 복합체를 제거하여 면역 과민 반응 방지

5. 염증 반응과 선천면역

감염이나 조직 손상이 발생하면 선천면역세포가 염증 반응(inflammation)을 유도하여 병원체를 제거하고 조직 복구를 돕는다.


염증_Inflammation

1. 염증이란 무엇인가?염증(Inflammation)은 신체가 손상을 입었을 때 이를 회복하기 위한 방어 반응이다. 외부 병원균, 물리적 손상, 화학물질, 자가면역 반응 등의 자극으로 인해 발생하며, 면역 세

omarykoo.tistory.com

 

A. 염증 반응 과정

  1. 혈관 확장 및 투과성 증가: 혈장 단백질과 백혈구가 감염 부위로 이동
  2. 백혈구 혈관 외 유출: 호중구, 단핵구가 혈관을 빠져나와 병원체 제거
  3. 싸이토카인 및 케모카인 분비: 감염 부위로 면역세포를 유도

 

B. 주요 염증 매개 물질

물질기능
히스타민혈관 확장 및 투과성 증가
싸이토카인 (IL-1, TNF-α)염증 반응 유도 및 면역세포 활성화
프로스타글란딘통증 및 발열 반응 유발
백혈구 이동 단백질 (C3a, C5a)백혈구 유인 및 활성화

 


6. 선천면역의 한계와 적응면역과의 연결

선천면역은 신속하지만 병원체에 대한 특이적인 면역 기억을 형성하지 않는다. 따라서 감염이 지속되면 적응면역(T세포, B세포)이 활성화되어 보다 정교한 면역반응을 수행한다.
 

  • 수지상세포(Dendritic Cell)는 감염 부위에서 병원체를 탐식한 후 림프절로 이동하여 T세포에 항원을 제시
  • 선천면역의 싸이토카인(IL-12, IFN-γ 등)은 적응면역세포의 활성화 촉진

<출  처>
 
Innate Immunity: Description, Functions and Facts - Microbiology Notes
 

호중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호중성 과립구 호중구[1][2](好中球, 영어: neutrophil, neutrocyte) 또는 중성구 또는 이염색 백혈구[3](영어: heterophil) 또는 다형핵 백혈구[4](영어: polymorphonuclear leukocyte

ko.wikipedia.org

 
 

Monocytes and Macrophages: Macrophage and Monocyte Function, Origin and Related Conditions

In this article, we focus on two related types of immune cell – the monocyte and the macrophage. We discuss what monocytes and macrophages are, how they are generated, their functions in the body and conditions related to them.

www.technologynetworks.com

 
 

Natural killer cell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Type of cytotoxic lymphocyte Natural killer cells, also known as NK cells, are a type of cytotoxic lymphocyte critical to the innate immune system. They are a kind of large granular lymphocytes[1][2] (LGL), and belong

en.wikipedia.org

 
Schematic of the TLR, RLR, and NLR antiviral protein signaling cascades... | Download Scientific Diagram
 

Scavenger receptors in host defense: from functional aspects to mode of action - Cell Communication and Signaling

Scavenger receptors belong to a superfamily of proteins that are structurally heterogeneous and encompass the miscellaneous group of transmembrane proteins and soluble secretory extracellular domain. They are functionally diverse as they are involved in va

biosignaling.biomedcentral.com

 
 

How Does Complement System Work? - Creative Biolabs

The complement system is an important component of the innate immunity that functions primarily as a first-line host defense against pathogenic infections. Complement mediates responses to inflammatory triggers through a co-ordinated sequential enzyme casc

www.creative-biolabs.com

 

728x90

'의생명공학 > 면역'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체계_Complement System  (2) 2025.03.08
항원-항체 상호반응  (0) 2025.03.07
항원과 항체_Antigen & Antibody  (1) 2025.02.08
면역세포 및 면역기관  (0) 2025.01.25
면역학 개요_Immunology Overview  (0) 2025.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