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전체 글143

내분비생리①_호르몬 합성 및 조절 내분비계는 호르몬을 통해 신체의 항상성을 유지하고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조절하는 시스템이다. 호르몬은 특정 기관에서 생성되어 혈류를 통해 표적 기관으로 전달되며, 신체 성장, 대사 조절, 스트레스 반응, 생식 기능, 면역 반응 조절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호르몬 시스템의 균형이 깨지면 당뇨병, 갑상선 기능 장애, 부신기능 이상 등 다양한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01. 호르몬 합성(Hormone Synthesis)호르몬은 세 가지 주요 유형으로 분류되며, 각각의 합성 방식과 특징이 다르다.A. 스테로이드 호르몬(Steroid Hormones)합성 위치: 부신피질(Adrenal Cortex), 생식선(Gonads), 태반(Placenta)합성 경로: 콜레스테롤을 원료로 하여 합성됨.특징: 소수성이 강하여.. 2025. 3. 14.
신경생리③운동계_Motor System 1. 운동계(Motor System)운동계는 신경계가 근육을 조절하여 신체가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운동 명령은 중추신경계에서 생성되어 말초신경을 통해 근육으로 전달되며, 이 과정에서 다양한 신경 경로와 조절 기작이 작용한다. 운동계는 크게 수의운동과 불수의운동으로 나눌 수 있다.A. 수의운동(Voluntary Movement)운동피질(Motor Cortex): 대뇌의 전두엽에 위치하며, 근육의 움직임을 계획하고 조절하는 역할을 함.피질척수로(Corticospinal Tract): 대뇌에서 척수로 운동 신호를 전달하는 경로.소뇌(Cerebellum): 근육 조절과 협응, 균형을 담당하며 운동의 정확성을 유지함.기저핵(Basal Ganglia): 운동의 시작과 억제, 부드러운 움직임을 조.. 2025. 3. 13.
B세포의 발달과 활성 B세포는 체액성 면역(humoral immunity)의 핵심 역할을 담당하는 면역세포로, 항체를 생성하여 병원체를 제거하는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B세포는 골수에서 생성 및 성숙한 후, 2차 면역기관에서 항원을 만나 활성화되며, 이후 형질세포(Plasma Cell)나 기억 B세포(Memory B Cell)로 분화한다.1. B세포의 발달 과정A. B세포의 생성과 성숙B세포는 골수(Bone Marrow)에서 생성되며, 골수 기질세포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성숙이 진행된다.B세포의 발달 단계는 다음과 같다. 단계 특징 주요 과정 Pro-B세포중쇄 유전자 재배열 시작Ig 중쇄(Heavy Chain) 재조합Pre-B세포중쇄 발현 및 경쇄 재배열Pre-BCR 형성, 경쇄 재조합 시작미성숙 B세포완전한 BCR 발현.. 2025. 3. 12.
T세포의 발달과 활성 T세포는 세포성 면역을 담당하는 핵심 면역세포로, 병원체 감염 세포를 직접 제거하거나 다른 면역세포의 활성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T세포는 골수에서 생성된 후 흉선(thymus)에서 성숙하며, 양성선택과 음성선택을 통해 적절한 면역 반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조정된다.1. T세포의 발달 과정A. T세포의 생성과 이동T세포는 골수에서 생성되지만 성숙하기 위해 흉선으로 이동한다.흉선에서는 T세포 수용체(TCR) 유전자 재조합과 MHC 제한(MHC restriction) 과정을 거친다.성숙한 T세포는 혈액과 림프계를 통해 말초 조직(2차 림프기관)으로 이동하여 면역 반응을 수행한다. B. 흉선에서의 T세포 성숙 과정T세포 전구체는 흉선으로 들어온 후 단계적인 변화를 거친다.이중음성(DN, Double Nega.. 2025. 3. 11.
항원 수용체 우리 몸의 면역 시스템은 침입한 병원체를 정확히 인식하고 제거하기 위해 항원 수용체(Antigen Receptor, AR)를 활용한다. 항원 수용체는 B세포 수용체(BCR)와 T세포 수용체(TCR)로 나뉘며, 이들은 각각 체액성 면역과 세포성 면역을 담당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항원 수용체는 유전자 재조합 과정을 통해 엄청난 다양성을 가지며, 면역 반응의 정밀성을 높인다.1. 항원 수용체란?항원 수용체는 B세포와 T세포가 각각 항원을 인식하는 단백질이다.B세포 수용체(BCR, B Cell Receptor): 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막결합형 항체(mIg)이며, 항원을 직접 인식하고 결합할 수 있다.T세포 수용체(TCR, T Cell Receptor): 항원제시세포(APC)가 MHC 분자를 통해 제시한 항원.. 2025. 3. 10.
주조직적합성 항원(MHC)과 항원제시 1. 주조직적합성 항원이란?주조직적합성 항원(MHC, 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은 면역 반응에서 항원을 T세포에 제시하는 핵심 역할을 하는 당단백질 복합체이다. MHC는 감염된 세포를 인식하고 면역세포를 활성화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며, 조직이식의 성공 여부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기도 하다. MHC는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MHC class I: 모든 유핵세포에서 발현되며, 내인성 항원(바이러스 감염 단백질, 종양 단백질)을 CD8+ T세포(세포독성 T세포, Tc)에 제시하여 감염된 세포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MHC class II: 항원제시세포(APC)인 대식세포, 수지상세포, B세포에서 발현되며, 외인성 항원(세균, 기생충 등 외부에서 유입된 단.. 2025. 3. 9.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