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전체 글143

C언어 포인터 1. 포인터(Pointer)란?프로그래밍을 하다 보면 변수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변수가 어디에 저장되는지를 알게 되면 더욱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를 가능하게 해주는 것이 바로 포인터(Pointer) 이다.포인터는 변수가 저장된 메모리 주소를 저장하는 변수이다. 즉, 일반 변수는 데이터를 저장하지만, 포인터는 해당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 주소를 저장한다.A. 변수와 메모리 주소컴퓨터에서 변수는 메모리의 특정 주소에 저장된다. 변수를 선언하면 운영체제가 해당 변수를 위한 메모리 공간을 할당하고 고유한 주소(address) 를 부여한다.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코드가 있다고 가정해보자.int a = 10;위 코드에서 a라는 변수는 메모리의 특정 공간에 저장되며, 값.. 2025. 3. 1.
C언어 배열 1. 배열이란?배열(array)은 같은 데이터 타입의 여러 개의 값을 하나의 변수로 관리할 수 있는 자료구조이다. 기존 변수는 하나의 값만 저장할 수 있지만, 배열을 사용하면 여러 개의 데이터를 연속된 메모리 공간에 저장할 수 있다. 배열의 각 원소는 인덱스(index)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배열의 개념배열은 하나의 이름을 가지며, 내부적으로는 여러 개의 변수를 포함하고 있는 집합과 같다. 이를 예를 들어 단독 주택과 아파트로 비유할 수 있다. 일반적인 변수는 단독 주택처럼 하나의 값을 저장하지만, 배열은 아파트처럼 여러 개의 값을 저장할 수 있다.A. 배열이 필요한 이유프로그래밍에서는 다수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10명의 학생의 성적을 저장하고 평균을 계산해야.. 2025. 2. 28.
자율신경계 약물① 퇴행성 뇌질환과 치료제 1. 퇴행성 뇌질환이란?퇴행성 뇌질환(Neurodegenerative Diseases)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신경세포(neuron)가 점진적으로 손상되고 사멸하는 질환이다. 대표적으로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AD) 과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PD) 이 있다. 이러한 질환은 주로 노화와 관련이 있으며, 특정 단백질이 비정상적으로 축적되거나 신경전달물질의 불균형이 발생하면서 진행된다.2. 파킨슨병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PD)은 도파민(Dopamine)을 생성하는 흑질(Substantia Nigra) 부위의 신경세포가 점진적으로 소실되면서 운동 기능 장애를 초래하는 질환이다.주요 특징주요 증상: 손떨림(진전), 근육 경직, 운동 완서(느.. 2025. 2. 27.
🖥️06_실제로 적용되는지 확인하는 과정 작은 변화를 주면서 내가 이해한 것이 실제로 적용되는지 확인하는 과정은 기억을 더욱 깊게 각인시킨다.  코딩은 직접 타이핑을 치며 배우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단순히 코드를 따라 치는 것조차 의미가 있다. 이를 클론 코딩이라 하며, 기존에 짜여진 코드를 그대로 입력하는 과정에서도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손에 익을 때까지 반복하는 것이다. 단순히 따라 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안 보고도 구현할 수 있는 수준까지 가는 것이 핵심이다. 이를 위해 변수를 바꿔보거나, 일부 로직을 수정해보는 등의 연습이 필요하다. 작은 변화를 주면서 내가 이해한 것이 실제로 적용되는지 확인하는 과정은 기억을 더욱 깊게 각인시킨다. 이런 방식으로 코딩을 하면 단순한 외우기가 아닌, 진짜 내 것이 된다.하지만.. 2025. 2. 26.
인간의 감각과 조명 조명디자인은 단순히 공간을 밝히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감각과 심리, 작업 효율, 안전성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인테리어 디자인에서 조명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려면 인간의 시각적 특성을 고려하고, 심리적 영향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1. 인간의 감각과 빛A. 눈의 구조와 기능우리의 눈은 외부의 빛을 받아들이고, 이를 대뇌로 전달하여 시각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인간이 경험하는 정보의 80~90%는 시각을 통해 얻어지며, 조명 환경에 따라 시각적 경험이 크게 달라질 수 있다.눈의 주요 구조는 다음과 같다.각막(Cornea): 외부 빛을 받아들이는 첫 번째 부분으로, 빛을 굴절시켜 눈 안으로 들어가게 한다.홍채(Iris)와 동공(Pupil): 빛의 양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밝은 곳에서는 동공이 작아지고.. 2025. 2. 25.
가구 디자인의 원리 가구 디자인의 원리는 공간과 조화를 이루고 기능성을 극대화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좋은 가구 디자인은 단순히 미적인 요소를 넘어 사용자의 편안함과 공간의 활용성을 극대화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인테리어 디자인과 함께 고려될 때 최적의 결과를 도출할 수 있으며, 현대 디자인에서는 기술 융합과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 UX)이 중요한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다. 가구 디자인의 핵심 원리는 비례와 균형, 대비와 통일, 사용자 경험(UX) 고려으로 구분할 수 있다.1. 비례와 균형비례(Proportion)와 균형(Balance)은 가구 디자인의 가장 기본적인 원리로, 가구와 공간이 조화를 이루기 위해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요소이다.비례(Proportion): 가구의 크기와 형태가 주변 공간과 어울.. 2025. 2. 24.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