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전체 글143

🖥️13_프로그래밍은 정확하게 이해해야 한다. 느낌이 이렇다하는 게 아니라,프로그래밍은 정확하게 이해해야 한다. 많이 쓰다보면 알겠지가 아님 2025. 3. 27.
🖥️12_나의 코드는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 코드는 절대적으로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외려 그러한 방편이 있어서 좋은 거 같다. 내가 알량하게 이해하고 바로 문제를 직면했는지, 아니면 완전히 그 개념을 알고서 논리적으로 문제를 접근했는지는 코드의 흐름만 보고도 알 수 있을 듯 했다. (나는 아직 그런 역량이 갖춰져 있지 않기에, 함부로 내 자신을 평가하기엔 이르다) 컴퓨터 언어의 기본기는 각 파트 단계별로 이해하고 넘어가야 뒷 단계도 그 전단계를 응용 및 활용하여 나아갈 수 있기에, 디자이너였을 때와는 또 다른 접근법과 방식이었다. 외려 정말 나한테 부족한 꼼꼼하게 살피고 가는 걸 개발로 하여금 보완해주는 역할을 해주는 듯 했다.지적은 계속해서 받고, 지금은 아무리 노력하고 열심히 해도 제자리 걸음마냥 맴돌고 있는 듯하다.하지만 이렇게라도 지금 기본.. 2025. 3. 26.
🖥️11_방심은 금물.. 컴퓨터는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그건 코딩을 하면서 매번 부정하지만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상황을 직면한다.나는 이제 알겠다라고 표현하는 자체가 입을 굳게 닫도록 하는 게 코딩인 거 같다.겸손하게, 묵묵히 그냥 코딩의 논리를 하나둘 익히고 이해하는데에 집중해야겠다.   2025.03.25(Tue) 2025. 3. 25.
심혈관 생리③_특수순환 및 체온조절 1. 특수순환 (Special Circulation)일부 기관은 높은 대사율, 특수한 기능 등을 이유로 고유한 순환 조절 메커니즘을 가진다. A. 뇌 순환 (Cerebral Circulation)산소와 포도당 요구량이 높음: 전체 산소 소비량의 약 20%, 포도당 주요 에너지원.자가조절(Autoregulation): 평균 동맥압(MAP) 60~160mmHg 범위 내에서 뇌혈류 일정 유지.조절 요인: CO2 증가 → 혈관 확장, pH 저하 → 혈류 증가.혈류 장애: 일시적 감소 시 실신, 장기적 차단 시 뇌경색 발생. B. 관상 순환 (Coronary Circulation)심근 산소 소모량 매우 높음: 심박출량의 약 5% 공급.수축기 혈류 감소: 심실 수축 시 혈관 압박, 이완기에 혈류 최대.혈류 조절: .. 2025. 3. 23.
심혈관 생리②_심장주기 및 정맥환류량의 관계 1. 심장주기 (Cardiac Cycle)심장주기란 심장이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며 혈액을 순환시키는 과정을 말한다. 정상 성인의 경우 1분에 60~100회 박동하며, 1회 심장박동은 약 0.8초 소요된다. A. 수축기(Systole)등용수축기: 심실 근육이 수축을 시작하고 방실판(승모판, 삼첨판)이 닫힌다. 혈액 이동 없이 압력만 상승.박출기: 심실 내 압력이 대동맥/폐동맥 압력을 초과하면 반월판(대동맥판, 폐동맥판)이 열려 혈액이 방출됨. B. 이완기(Diastole)등이완기: 심실이 이완되며 모든 판막이 닫히고 심실 압력 급감.충만기: 방실판이 열려 심방의 혈액이 심실로 유입.심방 수축기: 심방이 수축해 심실로 혈액을 더 밀어 넣음, 심실 충전 최종 완료. C. 심음(Heart Sounds)S1(첫째.. 2025. 3. 22.
🖥️10_문턱 하나를 넘으며.. c언어에서 몇 관문중 하나라고 하는 반복제어문 *문제를 맞닥뜨리며, 하나하나 해당하는 문제를 풀어나가며 어떤 문제는 2시간동안 한참을 모니터만 바라보고 있었다.알듯 말듯 하면서 안 풀리는 문제를 씨름하는 게 처음엔 거기서 허비되는 시간이 너무 아깝고, 얼른 다음 챕터로 넘어가야하는데라는 조바심이 들곤 하였으나, 사전에 그렇게 진도를 빨리 나가봤자, 앞 부분이 제대로 이해 안 되면 거기서 거기라는 걸 이미 체감했기에, 풀릴 때까지 계속 반복문 코드만 바라봤다.몇 문제를 풀고 하다보니, 규칙성이 보여지기 시작했다. 지금 뭔가 뒤쳐지고 밑에 있다고 보일지라도 그건 전혀 부끄러운 게 아니었다. 설령 누군가가 나는 못한다고 무시한다할지언정, 지금 똑바로 잡고 해놔야지 나중가서 날개를 제대로 펴서 기량을 마음껏 누.. 2025. 3. 2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