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전체 글143 Unity C# 기본정리2 오브젝트에다 tag를 다는 이유는 식별하고, 선별적으로 조작하기 위함이다. 씐(Scene)안에는 수백개 오브젝트가 있을 경우, 특정 종류(플레이어, 적, 아이템)만 따로 처리하고플 때, Tag 통해 그걸 빠르게 구별가능하다. Collision Detection이란 물리적인 충돌을 얼마나 정확하게 처리할지 설정하는 옵션을 말한다.RigidBody를 가진 오브젝트가 빠르게 움직일 때, 벽이나 바닥을 뚫고 지나가는 현상이 생기는 걸 방지하기 위한 장치라고 보면된다. Rigidbody Constraints(제약) 옵션을 통해 어떤 축의 위치나 회전이 변경되지 않게 고정할 수 있다.여기서 물리적인 힘을 가하는 방식을 사용하기 위해, 리지드바디 컴포넌트를 할당할 변수와 이동 속력을 지정할 변수를 위와같이 선언한다... 2025. 4. 17. Unity C# 기본정리 01.상속과 재사용유니티의 컴포넌트 기반 구조를 이해하려면 코드를 재사용하는 전통적 방법인 '상속'을 알아야 한다.(부모-자식 상속) 예시로 Orc : Monster여기서 :(콜론)은 오른쪽의 부모 클래스를 상속해 왼쪽의 자식 클래스를 만든다는 의미즉, Monster 클래스를 기반으로 Orc 클래스를 만든다는 의미 클래스란 변수와 메서드(함수)를 묶은 틀을 말한다. (여기서 C언어에서 함수란, 명령어들의 집합체라고 보면 된다.) 부모 클래스를 상속해 자식 클래스의 기초 구현을 대신할 수 있으나, 상속에만 의존하면 오히려 코드를 재사용하기 힘들 수 있다. 즉, 상속에만 의존하면, 코드를 재사용하기 힘든 경우가 생긴다.02.컴포넌트 위와같이 inspector를 보면, 컴포넌트 패턴이란 미리 만들어진 부품을 .. 2025. 4. 16. 🖥️14_나의 잣대로만 보아선 아니되는 영역 컴퓨터는 절대 거짓말을 하지 않으며,작은 세부적인 영역에 속하긴 하나,잣대를 두고 보아선 아니되는 영역이 또한 코딩 개발부분이었다. 2025. 4. 1. 호흡생리③_환기/관류 관계 01. 환기/관류 관계 (Ventilation/Perfusion Relationship, V/Q)폐의 기능적 효율성은 공기의 흐름(환기)과 혈액의 흐름(관류)이 적절히 일치하는 것에 달려 있다.1) 이상적인 V/Q 비율평균 약 0.8 (폐 전체 기준)기저부는 관류↑ 환기↑ → V/Q 낮음폐 첨부는 환기↑ 관류↓ → V/Q 높음2) V/Q 불균형 예시환기 부족 (V↓): 기도 폐쇄, 폐렴, 무기폐 → 저산소혈증 유발관류 부족 (Q↓): 폐색전증 → 환기된 폐포에 혈류가 닿지 않아 "죽은 공간" 증가3) 보상기전저산소성 혈관수축: V↓ 부위의 폐혈관 수축 → 혈류 재분배기관지 확장: CO2↑ 부위의 환기 촉진02. 호흡 조절 (Regulation of Respiration)호흡은 의식적 조절이 가능한 반면,.. 2025. 3. 30. 호흡생리②_기체 교환 01. 기체교환 (Gas Exchange)기체교환은 폐포와 폐모세혈관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확산 현상이다. 이는 단순한 농도차에 따른 수동 확산이지만, 그 효율성과 안정성은 폐 구조와 혈류의 정교한 조율에 의해 보장된다.1) 폐포-모세혈관 간 확산산소 이동: 폐포 내 산소 분압(PAO2)은 약 100 mmHg, 폐모세혈관 내 혼합정맥혈의 산소 분압은 약 40 mmHg로, 이 차이로 인해 산소가 혈액으로 이동한다.이산화탄소 이동: 혈액 내 CO2 분압(PvCO2)은 약 46 mmHg, 폐포 내는 약 40 mmHg → CO2가 폐포로 확산되어 호기로 배출됨.2) 확산에 영향을 주는 요소기체 분압 차이: 분압 구배가 클수록 확산 속도 증가폐포 표면적: 총 약 70~100㎡의 면적 제공폐포막 .. 2025. 3. 29. 호흡생리①_호흡계 구조 호흡계는 인체의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산소(O2) 공급과 이산화탄소(CO2) 배출을 담당한다. 이 과정은 공기의 기계적 이동(환기), 폐 내 가스 교환, 가스의 운반, 조직 내 가스 확산을 포함하며, 호흡기 구조와 역학이 유기적으로 작용한다.01. 호흡계 구조 (Structure of the Respiratory System)호흡기는 구조와 기능에 따라 전도부(conducting zone)와 호흡부(respiratory zone)로 나뉘며, 이는 각각 공기의 전달과 가스 교환 역할을 수행한다.1) 전도부 (Conducting Zone)구성: 비강 → 인두 → 후두 → 기관 → 주기관지 → 엽기관지 → 세기관지기능: 공기 여과, 가습, 온도 조절, 병원체 방어 (점액 및 섬모 활동)점막 방어 체계: 섬모가.. 2025. 3. 28. 이전 1 2 3 4 ··· 24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