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흡계는 인체의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산소(O2) 공급과 이산화탄소(CO2) 배출을 담당한다. 이 과정은 공기의 기계적 이동(환기), 폐 내 가스 교환, 가스의 운반, 조직 내 가스 확산을 포함하며, 호흡기 구조와 역학이 유기적으로 작용한다.
01. 호흡계 구조 (Structure of the Respiratory System)
호흡기는 구조와 기능에 따라 전도부(conducting zone)와 호흡부(respiratory zone)로 나뉘며, 이는 각각 공기의 전달과 가스 교환 역할을 수행한다.
1) 전도부 (Conducting Zone)
- 구성: 비강 → 인두 → 후두 → 기관 → 주기관지 → 엽기관지 → 세기관지
- 기능: 공기 여과, 가습, 온도 조절, 병원체 방어 (점액 및 섬모 활동)
- 점막 방어 체계: 섬모가 이물질과 점액을 인두 쪽으로 이동시킴 (섬모청소작용)
2) 호흡부 (Respiratory Zone)
- 구성: 호흡세기관지 → 폐포관 → 폐포낭 → 폐포
- 폐포(Alveoli): 폐포는 가스 교환의 중심 구조로, 얇은 단층 편평상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표면에는 풍부한 모세혈관망이 분포되어 있다.
- 폐포포식세포: 먼지, 병원균 제거
- 서팩턴트 분비 세포: 표면장력 감소 → 폐 허탈 방지
3) 보조 호흡 구조
- 횡격막(Diaphragm): 주요 흡기근. 수축 시 흉강 부피 증가
- 늑간근(Intercostals): 늑골을 들어올려 흉강 확장
- 흉막(Pleura): 장측흉막과 벽측흉막 사이의 흉막강은 소량의 윤활액과 음압 유지로 폐확장을 돕는다.
02. 폐용적과 폐용량 (Lung Volumes & Capacities)
폐는 다양한 상황에서 공기의 양이 변하며, 이는 폐기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지표가 된다.
1) 폐용적(Lung Volumes)
- 일회 호흡량 (Tidal Volume, TV): 정상 호흡 시 한 번에 들어오거나 나가는 공기량 (약 500 mL)
- 예비 흡기량 (Inspiratory Reserve Volume, IRV): 최대 흡기 시 추가로 들이마실 수 있는 공기량 (약 3000 mL)
- 예비 호기량 (Expiratory Reserve Volume, ERV): 최대 호기 시 추가로 내쉴 수 있는 공기량 (약 1200 mL)
- 잔기량 (Residual Volume, RV): 최대 호기 후에도 폐에 남아 있는 공기량 (약 1200 mL)
2) 폐용량(Lung Capacities)
- 폐활량 (Vital Capacity, VC): 최대 흡기 후 최대 호기 시 공기량 = TV + IRV + ERV (약 4700 mL)
- 기능적 잔기용량 (Functional Residual Capacity, FRC): 평상시 호기 후 폐에 남아 있는 공기량 = ERV + RV (약 2400 mL)
- 총폐용량 (Total Lung Capacity, TLC): 폐가 담을 수 있는 최대 공기량 = TV + IRV + ERV + RV (약 6000 mL)
- 흡기용량 (Inspiratory Capacity, IC): 최대 흡기량 = TV + IRV
3) 측정과 임상적 의의
- 스파이로미터: TV, IRV, ERV, VC 등 측정 가능
- RV, FRC, TLC: 헬륨 희석법, 질소 세척법, 전신 플레티스모그래피 필요
- 폐기능 검사(PFT)는 폐쇄성(예: COPD)과 제한성(예: 폐섬유증) 질환의 감별에 활용됨
03. 호흡 역학 (Pulmonary Mechanics)
호흡 역학은 공기의 이동과 관련된 기계적 힘(압력, 저항, 순응도, 탄성력 등)을 설명한다.
1) 폐 환기의 기전
- 흡기: 횡격막과 외늑간근 수축 → 흉강 부피 증가 → 흉강 내 압력 감소 → 대기압 > 폐압 → 공기 유입
- 호기: 정상 호기는 수동적 (폐 탄성반동), 격렬한 호기 시 복부근 및 내늑간근 수축 → 능동적 호기
2) 흉막강과 음압
- 폐는 스스로 팽창할 능력이 없으며 흉막강 내 음압에 의해 흉벽에 밀착된다.
- 기흉: 흉막강 내 공기 유입 시 음압 소실 → 폐 허탈 발생
- 긴장성 기흉: 응급상황, 심혈관계까지 압박 가능
3) 폐 순응도 (Compliance)
- 폐와 흉벽이 얼마나 쉽게 팽창하는지를 나타냄
- 순응도 감소 → 폐 경직 (폐섬유증)
- 순응도 증가 → 과도한 확장 (폐기종)
4) 기도 저항 (Airway Resistance)
- 공기 흐름에 대한 저항. 기도 직경에 반비례
- 세기관지 평활근 수축, 점액 증가, 염증 → 저항 증가
- 흡입약물(베타2 작용제 등)을 통해 저항 완화 가능
5) 폐 탄성력과 표면장력
- 탄성반동력: 폐가 원래 크기로 돌아가려는 성질
- 표면장력: 폐포 내 수분막에서 발생
- 서팩턴트: 폐포 II형 세포에서 분비, 표면장력 감소 → 폐포 안정화, 무기폐 예방
728x90
'의생명공학 > 인체생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흡생리③_환기/관류 관계 (0) | 2025.03.30 |
---|---|
호흡생리②_기체 교환 (0) | 2025.03.29 |
심혈관 생리③_특수순환 및 체온조절 (0) | 2025.03.23 |
심혈관 생리②_심장주기 및 정맥환류량의 관계 (0) | 2025.03.22 |
심혈관 생리①_심혈관계 회로 및 심장 전기 생리 (1) | 2025.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