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생명공학/인체생리

심혈관 생리③_특수순환 및 체온조절

by 오머리쿠_OmaryKoo 2025. 3. 23.

1. 특수순환 (Special Circulation)

일부 기관은 높은 대사율, 특수한 기능 등을 이유로 고유한 순환 조절 메커니즘을 가진다.

 

A. 뇌 순환 (Cerebral Circulation)

이미지출처_Cerebral Circulation - Special Circulations - TeachMePhysiology

  • 산소와 포도당 요구량이 높음: 전체 산소 소비량의 약 20%, 포도당 주요 에너지원.
  • 자가조절(Autoregulation): 평균 동맥압(MAP) 60~160mmHg 범위 내에서 뇌혈류 일정 유지.
  • 조절 요인: CO2 증가 → 혈관 확장, pH 저하 → 혈류 증가.
  • 혈류 장애: 일시적 감소 시 실신, 장기적 차단 시 뇌경색 발생.

 

B. 관상 순환 (Coronary Circulation)

이미지출처_Coronary arteries - Wikipedia

  • 심근 산소 소모량 매우 높음: 심박출량의 약 5% 공급.
  • 수축기 혈류 감소: 심실 수축 시 혈관 압박, 이완기에 혈류 최대.
  • 혈류 조절: 아데노신, 산소 소비량 증가 시 혈관 확장.
  • 질환: 관상동맥 질환 → 협심증, 심근경색.

 

C. 폐 순환 (Pulmonary Circulation)

이미지출처_Circulatory Pathways ❘ SEER Training

  • 가스 교환 특화: 저압, 저저항 순환 (MAP 약 15mmHg).
  • 특이 반응: 저산소혈증 시 혈관 수축 → 혈류 재분배.
  • 병적 상태: 만성 폐질환 → 폐고혈압, 우심부전.

 

D. 피부 순환 (Cutaneous Circulation)

이미지출처_File:Blausen 0802 Skin DermalCirculation.png - WikiLectures

  • 체온조절 중심 역할: 열 손실 및 보존 조절.
  • AV 션트: 모세혈관 우회로 → 혈류 조절.
  • 더위 시 혈관 확장, 추위 시 혈관 수축 → 열 손실 최소화.
  • 병적 반응: 동상, 열사병 등.

2. 체온조절 (Thermoregulation)

인간은 항상성을 위해 심부 체온을 약 37°C로 유지한다. 외부 환경과 대사 상태에 따라 체온은 신속히 조절된다.

이미지출처_Body Thermoregulation in Sports❘ Optimal Control - SIXS News

 

A. 시상하부 조절 센터

  • 전시상하부: 체온 상승 감지 → 열 방출 반응 (발한, 피부 혈관 확장)
  • 후시상하부: 체온 저하 감지 → 열 생성 반응 (떨림, 혈관 수축, 대사 증가)

 

B. 열 생성 메커니즘

  • 기초 대사: 간, 근육에서 지속적으로 열 발생.
  • 떨림: 무의식적 골격근 수축 → 급속한 열 생성.
  • 비떨림 열 생성: 갈색지방에서 열 발생 → 주로 신생아, 추위 적응 시 활성.

 

C. 열 방출 메커니즘

  • 발한: 땀 증발 → 기화열로 체온 하강.
  • 피부 혈관 확장: 피부 혈류 증가 → 열 방출 증가.
  • 호흡 증가: 빠른 호흡을 통한 증기 손실.

 

D. 이상 체온 상태

  • 고체온증(열사병): 발한 장애, 체온 40°C 이상 → 중추신경계 손상.
  • 저체온증: 체온 35°C 이하 → 대사 저하, 심박수 감소, 심정지 위험.
  • 발열: 감염성 질환 시 체온 조절점 상승 → 면역 반응 촉진.

3. 심혈관계 통합기능 (Integrated Cardiovascular Function)

심혈관계는 다양한 생리적 상황에서 혈류 분포, 혈압, 심박출량을 통합적으로 조절하여 항상성을 유지한다.

 

A. 운동 시 반응

  • 교감신경 활성화: 심박수 및 수축력 증가 → 심박출량 증가.
  • 혈류 재분배: 내장 혈류 감소 / 골격근, 피부 혈류 증가.
  • 대사 산물 조절: CO2, 젖산 등 → 국소 혈관 확장.
  • 호르몬 조절: 카테콜아민, RAAS, ADH 활성화 → 혈압 및 수분 균형 유지.

 

B. 체위 변화 시 반응 (기립성 조절)

  • 자세 변화 → 정맥 환류 감소 → 일시적 혈압 저하.
  • 압력수용기 반사: 교감 활성화 → 심박수 및 혈관 저항 증가 → 혈압 회복.
  • 기립성 저혈압: 반사 기능 저하 → 어지럼증, 실신.

 

C. 출혈 시 반응 (저혈량 쇼크 대응)

  • 혈액량 급감 → 혈압 저하, 장기 관류 감소.
  • 초기 반응: 교감 활성화 → 심박수, 혈관 수축.
  • 중기 반응: RAAS, ADH 분비 → 수분 재흡수, 혈압 유지.
  • 심각한 경우: 미세순환 붕괴 → 산소 부족, 장기 손상.

 

D. 스트레스 및 감정 자극

  • 뇌-심혈관 연결 강화 → 정서적 자극이 심혈관 기능에 영향.
  • 급성 스트레스 → 교감 활성화 → 혈압 및 심박수 증가.
  • 만성 스트레스 → 고혈압, 동맥경화, 심혈관 질환 위험 증가.

<출  처>

 

 

Cerebral Circulation - Special Circulations - TeachMePhysiology

The brain requires a constant supply of oxygen and glucose. Therefore, cerebral circulation is adapted to ensure high constant blood flow.

teachmephysiology.com

 

 

 

Coronary arteries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Artery of the coronary circulation which transports blood into and out of the cardiac muscle Blood vessels The coronary arteries are the arterial blood vessels of coronary circulation, which transport oxygenated blood

en.wikipedia.org

 

 

 

Circulatory Pathways | SEER Training

Circulatory Pathways The blood vessels of the body are functionally divided into two distinctive circuits: pulmonary circuit and systemic circuit. The pump for the pulmonary circuit, which circulates blood through the lungs, is the right ventricle. The lef

training.seer.cancer.gov

 

 

 

Under the Microscope: The Importance of Thermoregulation in Sports

Explore the significance of body temperature regulation in sports. Maintain thermal balance for optimal performance with SIXS technical apparel. Dive in now!

news.six2.com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