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개발자11

🖥️14_나의 잣대로만 보아선 아니되는 영역 컴퓨터는 절대 거짓말을 하지 않으며,작은 세부적인 영역에 속하긴 하나,잣대를 두고 보아선 아니되는 영역이 또한 코딩 개발부분이었다. 2025. 4. 1.
🖥️12_나의 코드는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 코드는 절대적으로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외려 그러한 방편이 있어서 좋은 거 같다. 내가 알량하게 이해하고 바로 문제를 직면했는지, 아니면 완전히 그 개념을 알고서 논리적으로 문제를 접근했는지는 코드의 흐름만 보고도 알 수 있을 듯 했다. (나는 아직 그런 역량이 갖춰져 있지 않기에, 함부로 내 자신을 평가하기엔 이르다) 컴퓨터 언어의 기본기는 각 파트 단계별로 이해하고 넘어가야 뒷 단계도 그 전단계를 응용 및 활용하여 나아갈 수 있기에, 디자이너였을 때와는 또 다른 접근법과 방식이었다. 외려 정말 나한테 부족한 꼼꼼하게 살피고 가는 걸 개발로 하여금 보완해주는 역할을 해주는 듯 했다.지적은 계속해서 받고, 지금은 아무리 노력하고 열심히 해도 제자리 걸음마냥 맴돌고 있는 듯하다.하지만 이렇게라도 지금 기본.. 2025. 3. 26.
🖥️11_방심은 금물.. 컴퓨터는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그건 코딩을 하면서 매번 부정하지만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상황을 직면한다.나는 이제 알겠다라고 표현하는 자체가 입을 굳게 닫도록 하는 게 코딩인 거 같다.겸손하게, 묵묵히 그냥 코딩의 논리를 하나둘 익히고 이해하는데에 집중해야겠다.   2025.03.25(Tue) 2025. 3. 25.
🖥️08_코딩은 손끝에서 완성된다 내 눈으로 직접 확인한 것만 믿을 것 프로그래밍을 배울 때, 이론을 간결하게 익히는 것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도 직접 타이핑하며 몸에 익히는 과정이 필수적이다. 단순히 눈으로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직접 코드를 작성하며 손끝으로 기억하는 것이 실력을 키우는 지름길이다. 클론 코딩도 그래서 의미가 있다. 기존의 코드를 그대로 따라 치는 것만으로도 흐름을 이해하고 감각을 익힐 수 있기 때문이다.하지만 단순히 따라 하는 것에서 멈춰서는 안 된다. 완전히 내 것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변수를 바꿔보거나, 로직을 수정하면서 직접 실험해보는 과정이 필요하다. 그래야만 코드의 작동 원리를 제대로 파악하고, 문제 해결 능력도 기를 수 있다. 마치 새로운 개념을 배울 때, 단순한 암기가 아니라 실제로 활용해보는 과정이 중요.. 2025. 3. 5.
🖥️07_IT 분야에서 필요한 태도: 오픈 마인드 스스로를 유연하게 변화시키는 과정  교수님께서는 IT 분야에서는 항상 오픈 마인드를 가져야 한다고 강조하셨다. 기술은 끊임없이 변화하며, 새로운 개념과 도구가 빠르게 등장한다. 따라서, 고정된 사고방식보다는 열린 자세로 배우고 받아들이는 태도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변화를 거부하고 익숙한 것만 고집하면, 발전 속도가 빠른 IT 세계에서 도태될 수밖에 없다. 괜한 고집을 부리기보다, 새로운 흐름을 수용하고 적극적으로 탐구하는 자세가 필요하다.열린 마음으로 배운다는 것은 단순히 새로운 기술을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를 유연하게 변화시키는 과정이기도 하다. 기술이 바뀌는 것은 피할 수 없지만, 그것을 받아들이는 태도는 선택할 수 있다. 앞으로는 변화에 대한 두려움보다, 그것을 기회로 삼는 마음가짐을 가지려.. 2025. 3. 4.
🖥️06_실제로 적용되는지 확인하는 과정 작은 변화를 주면서 내가 이해한 것이 실제로 적용되는지 확인하는 과정은 기억을 더욱 깊게 각인시킨다.  코딩은 직접 타이핑을 치며 배우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단순히 코드를 따라 치는 것조차 의미가 있다. 이를 클론 코딩이라 하며, 기존에 짜여진 코드를 그대로 입력하는 과정에서도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손에 익을 때까지 반복하는 것이다. 단순히 따라 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안 보고도 구현할 수 있는 수준까지 가는 것이 핵심이다. 이를 위해 변수를 바꿔보거나, 일부 로직을 수정해보는 등의 연습이 필요하다. 작은 변화를 주면서 내가 이해한 것이 실제로 적용되는지 확인하는 과정은 기억을 더욱 깊게 각인시킨다. 이런 방식으로 코딩을 하면 단순한 외우기가 아닌, 진짜 내 것이 된다.하지만.. 2025. 2. 26.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