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XR개발50

🖥️10_문턱 하나를 넘으며.. c언어에서 몇 관문중 하나라고 하는 반복제어문 *문제를 맞닥뜨리며, 하나하나 해당하는 문제를 풀어나가며 어떤 문제는 2시간동안 한참을 모니터만 바라보고 있었다.알듯 말듯 하면서 안 풀리는 문제를 씨름하는 게 처음엔 거기서 허비되는 시간이 너무 아깝고, 얼른 다음 챕터로 넘어가야하는데라는 조바심이 들곤 하였으나, 사전에 그렇게 진도를 빨리 나가봤자, 앞 부분이 제대로 이해 안 되면 거기서 거기라는 걸 이미 체감했기에, 풀릴 때까지 계속 반복문 코드만 바라봤다.몇 문제를 풀고 하다보니, 규칙성이 보여지기 시작했다. 지금 뭔가 뒤쳐지고 밑에 있다고 보일지라도 그건 전혀 부끄러운 게 아니었다. 설령 누군가가 나는 못한다고 무시한다할지언정, 지금 똑바로 잡고 해놔야지 나중가서 날개를 제대로 펴서 기량을 마음껏 누.. 2025. 3. 21.
🖥️09_코드를 완전하게 따지면서 돌려보자 c언어에는 목숨을 걸어야 한다 코드를 완전하게 따지면서 돌려보자. 그런 자세로 가져야 한다. 마우스로 브레이크를 걸어서 해야 하는 습관을 들이자. 2025. 3. 20.
C 오답노트02_산술연산자 & 선택제어문(조건문) //01. 타입의 명시에 대한 간과 그리고 나눗셈 /...위와같은 코드에서 출력된 값은 10.000000이다.이는 변수 c의 타입이 float인데, float은 단순히 소수점이 있다 정도로 이해하고 그냥 주어진 문제풀이에 대해 알량하게만 인식했던 거 같다. float는 소수점 6자리까지 나타낸다는 부분을 당시에는 무시하고, 그저 소수점을 나타낸다 정도로 이해하고 무시했던 거 같다. 피연산자 모두 위의 코드에선 정수이기에, 나눗셈 연산해서 버려지는 것도 정수 부분만 남는다. 나는 '/'를 정수만 해당하기 때문에, 어떤 전혀 상관없는 이론과 섞였는지 이상하게 받아들여지고, 그걸 토대로 코드 해석에 적용했었다. 만약 위의 코드에서 올바르게 출력되도록 한다면, 짚고 넘어갈 개념이 있기에, 다시 되새겨보고자 한다.. 2025. 3. 19.
C오답노트01_출력과 입력 매주 배운 C언어 챕터들 대상으로 테스트를 하는데, 기본이지만 아는 건 확실하게 짚고 넘어가자는 의미에서 위와같은 오답노트를 정리하고자 한다. 언어를 바르게 알기 위해선, 언어만 알아서는 아니된다는 걸 이번 출력과 입력 파트에서 자각하게 됐다. 교수님께서 강조하신 말씀이 있으신데, 이건 두고두고 주문처럼 외어야 할 듯 싶다. 안다고 대충 흘러넘기려는 습관이 가져진 이상 그걸 고치려 노력해야 개발분야에서 에러가 나지 않을테니 말이다. 꼼꼼하게 보는 습관을 들여라!아는데 틀렸다는 건 모르는 거다!두리뭉실하게 아는 것과 확실하게 아는 거는 완전히 다르다! 내가 미처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였거나, 이해하지 못했던 부분들을 추려서 '오답노트'라는 글로 앞으로 포스팅해서 정리하고자 한다.//01. 모든 프로그램은 M.. 2025. 3. 19.
🖥️08_코딩은 손끝에서 완성된다 내 눈으로 직접 확인한 것만 믿을 것 프로그래밍을 배울 때, 이론을 간결하게 익히는 것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도 직접 타이핑하며 몸에 익히는 과정이 필수적이다. 단순히 눈으로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직접 코드를 작성하며 손끝으로 기억하는 것이 실력을 키우는 지름길이다. 클론 코딩도 그래서 의미가 있다. 기존의 코드를 그대로 따라 치는 것만으로도 흐름을 이해하고 감각을 익힐 수 있기 때문이다.하지만 단순히 따라 하는 것에서 멈춰서는 안 된다. 완전히 내 것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변수를 바꿔보거나, 로직을 수정하면서 직접 실험해보는 과정이 필요하다. 그래야만 코드의 작동 원리를 제대로 파악하고, 문제 해결 능력도 기를 수 있다. 마치 새로운 개념을 배울 때, 단순한 암기가 아니라 실제로 활용해보는 과정이 중요.. 2025. 3. 5.
🖥️07_IT 분야에서 필요한 태도: 오픈 마인드 스스로를 유연하게 변화시키는 과정  교수님께서는 IT 분야에서는 항상 오픈 마인드를 가져야 한다고 강조하셨다. 기술은 끊임없이 변화하며, 새로운 개념과 도구가 빠르게 등장한다. 따라서, 고정된 사고방식보다는 열린 자세로 배우고 받아들이는 태도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변화를 거부하고 익숙한 것만 고집하면, 발전 속도가 빠른 IT 세계에서 도태될 수밖에 없다. 괜한 고집을 부리기보다, 새로운 흐름을 수용하고 적극적으로 탐구하는 자세가 필요하다.열린 마음으로 배운다는 것은 단순히 새로운 기술을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를 유연하게 변화시키는 과정이기도 하다. 기술이 바뀌는 것은 피할 수 없지만, 그것을 받아들이는 태도는 선택할 수 있다. 앞으로는 변화에 대한 두려움보다, 그것을 기회로 삼는 마음가짐을 가지려.. 2025. 3. 4.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