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전체 글143

06_Q&A for문 증감식에선 ;가 없는 이유에 대한 물음.zip Q1. for문에서 초기값, 조건, 증감식을 사용할 때 구분자로 ;를 사용하지만, 증감식 뒤에는 왜 ;를 붙이지 않는 건가? for 문 구조이 구조에서 각각의 부분을 나누기 위해 초기값과 조건, 조건과 증감식 사이에는 ;가 필요하다.하지만 증감식 뒤에는 ;가 붙지 않는다.증감식 뒤에는 왜 ;가 없을까?for 문은 하나의 제어 구조(Control Structure) 로 동작하며, 초기값 → 조건 → 반복 실행 → 증감식의 순서로 실행된다.즉, for 문 자체가 반복 실행을 위한 블록을 포함하기 때문에 증감식 이후에는 별도의 ;가 필요하지 않다. 잘못된 예제 (증감식 뒤에 ;를 붙인 경우)이렇게 작성하면 컴파일 오류가 발생하거나 의도하지 않은 동작이 될 수 있다. 올바른 예제여기서 증감식 i++는 반복이 끝.. 2025. 1. 25.
C언어 반복문 프로그래밍에서 반복문은 필수적인 개념이다. 특정 작업을 여러 번 수행해야 할 때, 반복문을 사용하면 코드의 가독성이 향상되고 유지보수가 쉬워진다. 이번 글에서는 C 언어의 대표적인 반복문인 while, for, do-while을 다루고, 중첩 반복문, 무한 루프, break, continue 활용법까지 정리해보겠다. 1. 반복문의 개념과 필요성반복문은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동안 같은 코드 블록을 여러 번 실행할 때 사용한다. 이를 통해 코드의 길이를 줄이고 가독성을 높이며,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반복문이 없다면 동일한 작업을 여러 번 수행하려면 같은 코드를 반복해서 작성해야 한다. 하지만 반복문을 사용하면 간결한 코드로 효율적인 프로그래밍이 가능하다. 반복문의 주요 장점코드의 중복을 줄일 수 .. 2025. 1. 25.
면역세포 및 면역기관 1. 면역세포란? 면역세포는 병원체로부터 몸을 보호하고 면역 반응을 조절하는 주요 구성 요소이다. 이러한 세포들은 조혈줄기세포(HSC, Hematopoietic Stem Cell)에서 유래하며, 두 개의 주요 계통으로 분화된다. 골수계 전구세포(Myeloid Progenitor)에서 유래하는 세포: 대식세포, 과립세포(호중구, 호산구, 호염기구), 비만세포, 수지상세포 등림프계 전구세포(Lymphoid Progenitor)에서 유래하는 세포: T세포, B세포, NK세포2. 주요 면역세포A. 대식세포 (Macrophage)대식세포는 조직 특이적으로 존재하며, 이들의 주요 기능은 병원체 탐식, 항원 제시, 염증 조절이다.조직별 명칭: 조직구(일반 조직), 폐포대식세포(폐), 쿠퍼세포(간), 소교세포(뇌), .. 2025. 1. 25.
신경계_자율신경계(Autonomic Nervous System)구성과 특징 1. 자율신경계란? 자율신경계(Autonomic Nervous System, ANS)는 우리가 의식적으로 조절할 수 없는 내부 장기의 기능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신경계이다. 주로 심장 박동, 소화, 호흡, 혈압 조절, 내분비계 기능 등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작용을 담당한다. 자율신경계는 크게 교감신경계(Sympathetic Nervous System)와 부교감신경계(Parasympathetic Nervous System)로 나뉘며, 이 두 시스템은 서로 상반된 작용을 하면서 신체의 항상성을 유지한다.2. 자율신경계의 구성과 기능(1) 교감신경계 (Sympathetic Nervous System)교감신경계는 "투쟁-도피 반응(fight or flight response)"을 담당하며, 긴급 상황에서 신체를 .. 2025. 1. 24.
C언어 조건문 프로그래밍에서 특정 조건에 따라 실행되는 코드 블록을 조건문(Conditional Statement)이라고 한다.C 언어에서는 if 문, if-else 문, 다중 if 문, switch 문을 활용하여 프로그램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1. 조건문의 개념일상에서도 특정 조건에 따라 행동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날씨가 춥다면 따뜻한 옷을 입는다.""지각하면 벌금을 낸다."프로그래밍에서도 특정 조건을 만족할 때만 실행되도록 해야 하는 코드가 필요하다.이를 위해 C 언어에서는 제어문(Control Statement)을 제공한다.조건문의 종류if 문 → 특정 조건이 참일 때 코드 실행if-else 문 → 참이면 A 실행, 거짓이면 B 실행다중 if 문 → 여러 개의 조건을 순차적으로 검사switch 문 →.. 2025. 1. 24.
세포와 병리학_Cytopathology 1. 병리학이란?병리학(pathology)은 질병이 발생하는 원리와 그 과정에서 인체 조직과 기관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pathos(질병) + logos(학문)’라는 그리스어에서 유래하였다. 병리학은 질병이 생기는 이유와 그로 인해 몸에 어떤 변화가 생기는지를 연구하는 분야이다. 질병이란 정상에서 벗어난 상태를 의미하며, 세포나 조직, 장기가 변형되거나 기능이 저하되는 것이 특징이다. 병리학은 이러한 변화를 형태적(눈에 보이는) 변화와 기능적(생리적, 생화학적) 변화로 나누어 연구한다. 이러한 병리학적 지식은 질병의 진단, 치료,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환자의 증상과 검사를 통해 병리학적 원인을 규명하면, 의사는 적절한 치료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2. 병리학의 역.. 2025. 1. 23.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