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처 치유(Wound Healing)는 손상된 조직이 회복되는 과정을 의미하며, 신체가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생리적 반응이다. 상처 치유 과정은 단순히 손상된 세포를 복구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조직을 형성하고 기능을 회복하는 데까지 이어진다.

상처 치유 과정은 크게 재생(Regeneration)과 복구(Repair) 두 가지 방식으로 나뉜다.
1. 상처 치유의 두 가지 방식
A. 재생(Regeneration)
- 손상된 세포가 정상적인 형태와 기능으로 완전히 회복되는 과정이다.
- 주로 불안정세포(labile cells) 와 안정세포(stable cells) 에서 발생한다.
ex) 간세포가 부분적으로 손상되었을 때 간이 다시 자라나는 과정.
B. 복구(Repair)
- 손상된 조직이 결합조직(fibrous tissue, 흉터)으로 대체되는 과정이다.
- 조직이 심하게 손상되었거나 재생 능력이 부족할 경우 발생한다.
ex) 심장 근육이 괴사한 후 흉터 조직이 남는 경우.
2. 상처 치유 과정
상처 치유는 여러 단계를 거쳐 이루어진다.

1) 염증 단계(Inflammatory Phase)
- 손상이 발생하면 혈소판(platelet) 이 활성화되어 혈액 응고(지혈)가 일어난다.
- 손상 부위로 백혈구(호중구, 대식세포) 가 이동하여 병원균과 손상된 조직을 제거한다.
- 염증 매개 물질(히스타민, 사이토카인, 프로스타글란딘) 이 분비되며 면역 반응을 조절한다.
2) 증식 단계(Proliferative Phase)
- 섬유모세포(fibroblast) 가 활성화되어 콜라겐(collagen) 을 합성한다.
- 육아조직(granulation tissue) 이 형성되며 새로운 혈관이 만들어진다.
- 상피세포(epithelial cell) 가 증식하여 피부 표면을 덮는다.
3) 재형성 단계(Remodeling Phase)
- 상처 부위가 수축하며 조직이 안정화된다.
- 콜라겐이 재배열되고 강도가 증가하면서 흉터가 형성된다.
- 완전한 회복이 이루어지거나, 경우에 따라 흉터 조직이 남을 수도 있다.
3. 상처 치유의 두 가지 유형
A. 일차 유합(Primary Intention)
- 상처의 경계가 가깝고, 감염이 없는 경우 신속하게 치유되는 과정이다.
ex) 수술 절개 후 봉합된 상처.
B. 이차 유합(Secondary Intention)
- 상처의 경계가 벌어져 있거나 감염이 있는 경우, 육아조직이 형성되면서 서서히 회복되는 과정이다.
ex) 깊은 피부 궤양, 화상.
4. 상처 치유의 이상 반응
- 지연된 치유(Delayed Wound Healing) – 감염, 영양 결핍, 당뇨병, 혈액 공급 부족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 비대성 반흔(Hypertrophic Scar) – 과도한 콜라겐 생성으로 인해 두꺼운 흉터가 형성된다.
- 켈로이드(Keloid) – 정상적인 흉터보다 훨씬 두껍고 돌출된 형태의 흉터가 발생하며, 주로 흑인에서 호발한다.
- 만성 상처(Chronic Wound) – 조직이 계속 손상되고 염증이 지속되는 상태
<출 처>
Mayo Clinic preclinical discovery triggers wound healing, skin regeneration - Mayo Clinic News Network
ROCHESTER, Minn. — Difficult-to-treat, chronic wounds in preclinical models healed with normal scar-free skin after treatment with an acellular product discovered at Mayo Clinic. Derived from platelets, the purified exosomal product, known as PEP, was us
newsnetwork.mayoclinic.org
Cutaneous Wound Healing: An Update from Physiopathology to Current Therapies
The skin is the biggest organ of human body which acts as a protective barrier against deleterious agents. When this barrier is damaged, the organism promotes the healing process with several molecular and cellular mechanisms, in order to restore the physi
www.mdpi.com
'의생명공학 > 병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생물_Neoplasm (0) | 2025.02.14 |
---|---|
염증_Inflammation (0) | 2025.01.27 |
세포와 병리학_Cytopathology (1) | 2025.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