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약동학(Pharmacokinetics)이란 무엇인가?
약동학(Pharmacokinetics)은 "몸이 약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연구하는 분야이다. 쉽게 말해, 우리가 약을 먹었을 때 몸에서 어떤 과정을 거쳐 작용하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약동학은 크게 네 가지 과정으로 구분된다.
- 흡수(Absorption): 약물이 혈류로 들어가는 과정으로, 투여된 약물이 어떻게 신체에 흡수되는지를 다루는 것이다.
- 분포(Distribution): 혈류를 통해 약물이 신체 각 조직으로 이동하는 과정이다. 특정 약물이 특정 장기에서 더 많이 축적되는 이유도 포함된다.
- 대사(Metabolism): 약물이 체내에서 변형되어 대사산물로 전환되는 과정이다. 주로 간에서 진행되며,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될 수 있다.
- 배설(Excretion): 변형된 약물이 몸 밖으로 배출되는 과정으로, 주로 신장을 통해 소변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 과정들은 약물의 효과 지속 시간, 복용 방법, 부작용 등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이다.
2. 약물의 투여경로
약물을 투여하는 방법은 약물의 특성 및 치료 목적에 따라 달라진다. 대표적인 투여경로는 다음과 같다.
A. 소화관내(Enteral) 투여
1. 경구(Oral): 가장 흔한 방법이며, 정제나 캡슐 형태로 복용하는 것이다.
- 장용피제제(Enteric-coated preparations): 위에서 분해되지 않고 장에서 흡수되는 형태 (ex: 아스피린)
- 지속성제제(Extended-release preparations, ER): 약물의 방출 속도를 조절하여 장시간 효과를 유지하는 것이다. (ex: 모르핀)
2. 설하(Sublingual, SL): 혀 아래에서 약물을 녹여 빠르게 흡수하는 방식으로, 정맥투여 효과를 유사하게 나타낸다. (ex: 니트로글리세린)
B. 비경구(Parenteral) 투여
- 정맥주사(IV, Intravenous): 혈류에 직접 주입하여 즉각적인 효과를 나타낸다. 응급상황에서 유용하다. (ex: 항생제, 수액)
- 근육주사(IM, Intramuscular): 근육층에 주사하여 서서히 방출되는 방식이다. (ex: 백신, 호르몬제)
- 피하주사(SC, Subcutaneous): 피부 아래 지방층에 주입하며, 지속적인 방출이 가능하다. (ex: 인슐린, 헤파린)
C. 기타 경로
- 흡입(Inhalation): 폐를 통해 흡수되는 방식으로, 신속한 작용이 필요할 때 사용된다. (ex: 천식 치료제)
- 국소(Topical) 및 경피(Transdermal) 투여: 피부를 통해 약물이 흡수되는 방식으로, 지속적인 방출을 제공한다. (ex: 니코틴 패치, 호르몬 패치)
- 직장(Rectal) 투여: 위장 장애가 있는 환자에게 사용되며, 일부 약물은 경구투여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 (ex: 좌약)
각 투여 방법은 장단점이 있으므로 환자의 상태와 약물의 특성을 고려하여 선택해야 한다.
3. 약물의 흡수(Absorption)
약물이 혈류로 유입되는 과정은 다양한 기전에 의해 결정된다.
A. 약물의 흡수 기전
- 수동적 확산(Passive diffusion): 농도 차이에 따라 약물이 세포막을 통과하는 방식이다. 지용성이 높은 약물이 이에 해당한다.
- 촉진확산(Facilitated diffusion): 특정 수송체를 이용하여 이동하지만,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는다.
- 능동수송(Active transport): 에너지를 사용하여 특정 분자를 운반하는 방식으로, 포도당이나 특정 이온들이 포함된다.
- 세포내이입 및 세포외유출(Endocytosis & Exocytosis): 거대분자가 세포 내로 들어가거나 나가는 과정이다. (ex: 비타민 B12, 신경전달물질)
세포 생리_Cellular Physiology
생리학이란? 생리학(Physiology)은 생명체가 어떻게 기능하고 조절되는지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이는 세포 수준에서부터 조직, 기관, 전체 생명체에 이르는 다양한 생리적 과정을 포함하며, 신체
omarykoo.tistory.com
B. 생체이용률(Bioavailability)
생체이용률은 투여된 약물이 혈류에 도달하는 비율을 의미한다. 경구 투여 시 간의 초회통과 효과(First-pass effect)에 의해 생체이용률이 낮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니트로글리세린은 간에서 빠르게 대사되므로 정맥투여나 설하투여가 더 효과적이다.
4. 약물의 배설(Excretion)
약물은 신장, 간, 폐 등을 통해 체외로 배출된다.
A. 신장을 통한 배설
- 사구체 여과(Glomerular filtration): 신장으로 여과된 후 소변으로 배출된다.
- 근위세뇨관 분비(Proximal tubular secretion): 능동수송을 통해 혈액에서 세뇨관으로 이동하여 배출된다.
- 원위세뇨관 재흡수(Distal tubular reabsorption): 지용성 약물은 다시 혈류로 흡수될 수 있으며, pH 조절을 통해 이 과정을 조절할 수 있다.
B. 간을 통한 배설
일부 약물은 간에서 대사된 후 담즙을 통해 배출된다. 이러한 약물들은 장-간 순환(Enterohepatic circulation)을 거치면서 재흡수될 수도 있으며, 이는 약물의 작용 시간을 연장하는 역할을 한다.
C. 기타 배설 경로
- 폐(Pulmonary excretion): 휘발성 약물(ex: 마취가스)은 폐를 통해 배출된다.
- 타액 및 땀(Salivary and Sweat excretion): 일부 약물은 땀과 타액을 통해 배출되며, 이로 인해 특정 약물이 체취나 입냄새를 유발할 수 있다.
- 유즙(Milk excretion): 일부 약물은 수유 중인 어머니의 모유를 통해 배출될 수 있으며, 이는 신생아에게 영향을 줄 수 있다.
배설 경로는 약물의 체내 지속 시간과 축적 여부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므로, 약물의 특성과 환자의 신체 상태를 고려하여 적절한 배설 경로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출 처>
Introduction to Pharmacokinetics: Four Steps in a Drug’s Journey Through the Body - Genomind
Learn the definition of pharmacokinetics and about the four steps of a drug’s journey through the body: absorption, distribution, metabolism, and excretion.
genomind.com
Sublingual spray: a new technology oriented formulation with multiple benefits
Sublingual drug delivery system was a well-established platform for delivering the drug that need to exhibit quick action without any first-pass metabolic effect, but various pitfall in the regular sublingual drug delivery systems such as a tablet, capsule
ijrps.com
Types of Injections and Sites | Agnes Healthcare
The most common types of injections are : Intravenous (IV) injections : An IV injection is the fastest way to inject a medication and involves using a syringe to inject a medication directly into a vein. IV infusion or drip involves using a pump or gravity
www.linkedin.com
Get updates, career advice, and job market news on the FutureLearn Blog
Find out how you can boost your career, make your CV stand out, and build the skills you need for your next career step.
www.futurelearn.com
Bioavailability - an overview | ScienceDirect Topics
Bioavailability can be defined as the result of a sequence of properties and complex metabolic events for a given compound to be available for use in the body; these properties and events include solubility, digestion, absorption, tissue distribution and r
www.sciencedirect.com
'의생명공학 > 약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율신경계 약물① 퇴행성 뇌질환과 치료제 (0) | 2025.02.27 |
---|---|
자율신경계 약물② 아드레날린성 작용제 및 길항제 (1) | 2025.02.03 |
자율신경계 약물① 콜린성 작용제 및 길항제 (0) | 2025.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