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퇴행성 뇌질환이란?
퇴행성 뇌질환(Neurodegenerative Diseases)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신경세포(neuron)가 점진적으로 손상되고 사멸하는 질환이다. 대표적으로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AD) 과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PD) 이 있다.
이러한 질환은 주로 노화와 관련이 있으며, 특정 단백질이 비정상적으로 축적되거나 신경전달물질의 불균형이 발생하면서 진행된다.
2. 파킨슨병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PD)은 도파민(Dopamine)을 생성하는 흑질(Substantia Nigra) 부위의 신경세포가 점진적으로 소실되면서 운동 기능 장애를 초래하는 질환이다.
주요 특징
- 주요 증상: 손떨림(진전), 근육 경직, 운동 완서(느려진 움직임), 자세 불안정
- 원인: 도파민 분비 감소 및 루이소체(Lewy bodies) 라는 비정상 단백질(α-시뉴클레인)의 축적
치료제
파킨슨병 치료의 핵심은 부족한 도파민을 보충하거나, 도파민 분해를 억제하는 것이다.
A. 레보도파(Levodopa) + 카비도파(Carbidopa)
- 레보도파: 도파민의 전구물질로, 뇌에서 도파민으로 변환됨
- 카비도파: 레보도파가 뇌에 도달하기 전에 분해되는 것을 막아줌
- 가장 효과적인 1차 치료제
B. MAO-B 억제제(Selegiline, Rasagiline)
- 도파민 분해를 억제하여 체내 도파민 농도를 증가시킴
- Selegiline은 체내에서 암페타민 대사체를 생성하여 각성을 유도할 수 있음
C. COMT 억제제(Entacapone, Tolcapone)
- 도파민 대사 효소(COMT)를 억제하여 레보도파의 지속 시간을 늘림
- Tolcapone은 간 독성이 있어 주의가 필요함
D. 도파민 수용체 작용제(Pramipexole, Ropinirole)
- 도파민과 유사하게 작용하여 부족한 도파민을 보충하는 역할
- 초기 파킨슨병 환자에게 사용 가능
E. 항콜린제(Benztropine, Trihexyphenidyl)
- 도파민 부족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과활성화된 콜린성 신경을 차단하여 증상 완화
- 부작용: 기억력 감퇴, 인지 저하 등으로 고령 환자에게 신중히 사용해야 함
F. 아만타딘(Amantadine)
- 도파민 분비 촉진 + NMDA 글루탐산 수용체 차단
- 가벼운 파킨슨 증상 개선에 효과적
3. 알츠하이머병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AD)은 β-아밀로이드(Senile plaque) 와 신경섬유다발(Neurofibrillary tangle) 이 뇌에 비정상적으로 축적되면서 신경세포가 점진적으로 파괴되는 질환이다.
주요 특징
- 주요 증상: 기억력 저하, 인지 기능 저하, 성격 변화, 판단력 저하
- 원인:
- β-아밀로이드 단백질의 축적 → 신경세포 독성 유발
- 타우(Tau) 단백질 이상 → 신경세포 골격 구조 붕괴
- 아세틸콜린(ACh) 감소 → 기억력과 학습 기능 저하
치료제
알츠하이머 치료의 핵심은 아세틸콜린 분해 억제 또는 NMDA 수용체 조절을 통한 신경세포 보호다.
A. 아세틸콜린에스터레이스 억제제(AChEI)
- 아세틸콜린 분해를 억제하여 신경전달을 강화
- Donepezil (도네페질): 가장 널리 사용되는 약물, 하루 1회 복용
- Rivastigmine (리바스티그민): 경구 및 패치 형태로 사용 가능
- Galantamine (갈란타민): 알츠하이머 경증~중등도 환자에게 사용
B. NMDA 수용체 길항제(Memantine, 메만틴)
- 과도한 글루탐산(Glutamate) 분비를 차단하여 신경세포 보호
- 중등도~중증 알츠하이머 환자에게 주로 사용
C. 최신 치료제 동향
최근 β-아밀로이드 제거를 목표로 하는 신약이 개발되고 있다.
- Aducanumab (아두카누맙): β-아밀로이드를 제거하는 항체 신약 (FDA 승인)
- Lecanemab (레카네맙): β-아밀로이드 응집을 억제하는 신약
4. 퇴행성 뇌질환 치료의 한계
현재 파킨슨병과 알츠하이머병을 완전히 치료하는 방법은 없다. 대부분의 치료제는 증상 완화와 질병 진행 속도 지연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하지만 최근 유전자 치료, 면역치료, 줄기세포 치료 등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면서, 완치 가능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출 처>
Parkinson´s Disease (PD) | ANOVA IRM Germany
The ANOVA Stem Cell Secretome Therapy for Parkinson’s disease uses Mesenchymal Stem Cells (MSCs). Clinical trials which employ MSCs to treat PD patients have so far shown encouraging results. MSCs have been shown to secrete many trophic (e.g. prostagland
anova-irm.com
Single cell insights into an Alzheimer’s disease drug target - 10x Genomics
In the ongoing search for better therapeutic targets for Alzheimer's disease (AD), scientists used single cell RNA-seq to study the effects of neurofibrillary tangle-formation on atrophied brains from AD patients.
www.10xgenomics.com
'의생명공학 > 약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율신경계 약물② 아드레날린성 작용제 및 길항제 (1) | 2025.02.03 |
---|---|
자율신경계 약물① 콜린성 작용제 및 길항제 (0) | 2025.01.26 |
약동학_Pharmacokinetics (1) | 2025.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