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1. 알고리즘이란 무엇이고, 문제를 어떻게 접근하고 해결해야하는가?
프로그래밍 문제를 풀 때 알고리즘을 먼저 설계하는 것은 정석적이고 효과적인 접근 방식이다. 아래에 볼 코드들을 보면, 조합 구하기, 소수 판별 같은 문제들이 있는데, 이런 문제를 풀 때 알고리즘을 먼저 설계하고 코드로 옮기는 과정이 중요하다.
1. 알고리즘이란?
알고리즘은 문제를 단계별로 해결하는 명확한 절차를 의미한다. 간단히 말해, "문제를 푸는 방법"이며, 문제를 코드로 옮기기 전에, 알고리즘을 설계하는 것이 전체 과정을 더 명확하고 효율적으로 만들어준다.
예시 1: 조합 (Combination) 문제
- 알고리즘 설계
- 을 계산하기 위한 함수를 만든다. (factorial)
- 조합 수식을 코드로 표현할 때 factorial(n)을 이용해 값을 계산한다.
- 입력값을 받아서 이 공식에 대입한다.
- 코드 작성
- 이 과정에서 factorial 함수와 combination 함수로 나누어서 코드를 짬
- 입력을 받고 조합 계산을 수행하는 알고리즘이 명확하게 구조화됨
예시 2: 소수 판별 문제
문제: 입력된 숫자가 소수인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코드
- 알고리즘 설계
- 소수란 1과 자기 자신만으로 나누어지는 숫자.
- 따라서 2부터 n−1까지의 숫자로 나눴을 때 한 번이라도 나누어떨어지면 소수가 아님.
- 2부터 n−1까지 반복하며 검사하는 알고리즘을 설계할 수 있다.
- 코드 작성
- 이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is_prime 함수를 작성했음.
- 입력값이 소수인지 아닌지를 검사하고 결과를 반환하는 구조.
2. 어떤 과정으로 문제를 접근해야 할까?
- 문제 이해하기
- 문제의 조건과 목표를 정확히 파악함.
- 어떤 입력이 주어지고, 어떤 출력을 만들어야 하는지 확인.
- 알고리즘 설계
- 문제를 작은 단계로 나눠서 어떤 절차로 문제를 풀지 생각.
- 가급적 말로 풀어서 설명해 보고, 흐름을 이해한 다음 코드로 옮김.
- 코드로 구현
- 설계한 알고리즘을 코드로 옮겨. 이때 작은 함수로 나누어 구현하면 가독성이 높아짐.
- 반복문, 조건문 등을 활용해서 효율적인 코드로 발전시켜 봄.
- 테스트와 디버깅
- 다양한 입력값으로 테스트해서 코드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
- 알고리즘이 효율적인지, 개선할 부분은 없는지 고민.
3. 위 문제들을 알고리즘으로 접근하는 예시
1) 조합 구하기 (Combination)
문제 분석
- 입력값: 두 정수 n 과 r
- 출력값: C(n , r)
알고리즘 설계
- n!을 구하는 factorial 함수 작성
- combination 함수에서 아래 공식 사용
2) 소수 판별
문제 분석
- 입력값: 정수 n
- 출력값: n이 소수인지 아닌지 판별
알고리즘 설계
- n이 2부터 n−1까지 나눠지는지 확인
- 한 번이라도 나눠지면 소수가 아님 (return 0), 끝까지 나눠지지 않으면 소수 (return 1)
문제 → 알고리즘 설계 → 코드 구현 → 테스트
이 과정을 습관화하면 점점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문제를 풀 수 있음!
728x90
'XR개발 > C언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C언어 배열 (2) | 2025.02.28 |
---|---|
10_Q&A 함수원형에 대한 물음.zip (0) | 2025.02.16 |
08_Q&A 함수 매개변수 선언에 대한 물음.zip (0) | 2025.02.12 |
07_Q&A if else & switch문 비교에 대한 물음.zip (0) | 2025.02.10 |
C언어 변수 범위와 순환 호출 (0) | 2025.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