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동물실험의 역사
동물실험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과학자들이 이를 통해 생물학적 원리를 탐구해왔다. 고대 그리스의 아리스토텔레스는 동물을 해부하여 내부 장기의 차이를 연구하였고, Erasistratus는 돼지를 이용해 폐가 호흡기관이라는 사실을 밝혔다. 이후 Galen은 동물 실험을 통해 의학적 연구를 확장하였으며, William Harvey는 혈액순환 원리를 규명하는 데 동물실험을 활용하였다. 현대에 이르러 Louis Pasteur는 백신 개발을 위해 동물실험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19세기에는 동물 보호를 위한 움직임이 본격화되었으며, 영국에서는 Society for the Prevention of Cruelty to Animals(SPCA)가 창설되어 동물 복지를 강조하기 시작하였다.
2. 동물실험의 3R 원칙
동물실험은 과학 발전에 기여하지만, 윤리적 논란이 지속되어 왔다. 이에 따라 Russell과 Burch는 3R 원칙을 제안하였다.
- Replacement(대체): 동물 실험을 가급적 피하고, 세포배양이나 컴퓨터 시뮬레이션 등 대체 방법을 활용한다.
- Reduction(감소): 필요한 최소한의 동물만을 사용하여 실험을 수행한다.
- Refinement(개선): 실험 과정에서 동물의 고통을 최소화하도록 실험 방법을 개선한다.
최근에는 인공지능(AI)과 오가노이드(organoids) 기술이 발전하면서, 동물실험을 대체할 수 있는 혁신적인 연구 방법이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이는 동물실험의 윤리적 문제를 해결하면서도 보다 신뢰성 높은 연구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3. 국내 실험동물학 현황
대한민국에서도 동물실험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를 관리하기 위한 여러 기관과 제도가 존재한다.
- 한국실험동물학회: 실험동물기술사 및 실험동물기술원 자격증을 운영하며, 동물실험 관련 연구를 지원한다.
- Korean Society for Alternatives to Animal Experiment: 동물 실험의 대체 방법을 연구하는 기관이다.
- Korean College of Laboratory Animal Medicine: 실험동물의학 관련 연구와 교육을 수행한다.
- 국내 AI 기반 실험 대체 연구: 최근 한국에서도 AI를 활용한 약물 실험과 신경과학 연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동물실험을 줄이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4. 동물실험 관련 법규
A. 동물보호법
동물보호법은 동물 실험의 윤리성과 복지를 보장하기 위해 제정되었다.
- 제13조(동물실험의 원칙): 동물실험은 인류의 복지 향상과 동물의 생명 존중을 고려하여야 하며, 대체 가능한 방법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 제14조(동물실험윤리위원회 설치): 일정 규모 이상의 동물실험시설은 동물실험윤리위원회를 운영해야 하며, 실험의 윤리성을 심의하고 감독해야 한다.
- 제26조(과태료 조항): 동물보호법을 위반한 시설에는 과태료가 부과된다. 예를 들어, 동물실험윤리위원회를 설치하지 않으면 5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받을 수 있다.
B. 실험동물에 관한 법률
이 법률은 식품의약품안전처가 관장하며, 동물실험을 수행하는 기관에 대한 규정을 포함한다.
- 실험동물 운영자의 책무: 실험동물의 과학적 사용과 관리를 위한 지침을 수립해야 한다.
- 교육 의무: 동물실험 수행자는 필수 교육을 받아야 하며, 실험 과정에서 동물 복지를 고려해야 한다.
- 실험동물 시설 등록: 동물실험을 수행하는 시설은 식약처에 등록해야 하며, 관리자를 두어야 한다.
5. 국제적 동물실험 관리 기준
A. IACUC
IACUC(Institutional Animal Care and Use Committee)는 미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서 동물실험을 감독하는 기구이다. 동물 실험이 윤리적 기준을 준수하는지 평가하고, 연구시설을 정기적으로 검토하는 역할을 한다.
B. AAALAC
AAALAC(Association for Assessment and Accreditation of Laboratory Animal Care International)는 동물 실험 시설의 인증을 수행하는 비영리 국제 단체이다. 이 기관은 연구시설이 동물 복지 기준을 충족하는지 평가하고, peer review를 통해 인증을 부여한다.
최근에는 국제 기준이 더욱 엄격해지면서, AAALAC 인증을 받은 연구소들이 더욱 높은 수준의 동물 복지와 실험 관리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다.
<출 처>
200 Years Since the RSPCA was Established in Great Britain | British Online Archives
Today (16/06/2024) marks 200 years since the Royal Society for the Prevention of Cruelty to Animals (RSPCA) was founded in Great Britain. On 16 June 1824, Reverend Arthur Broome, credited as the society's founder...
britishonlinearchives.com
The 3 R's of Humane Animal Research
See how Climb helps reduce the burden on research animals by helping in vivo labs adhere to the principles of the 3 R's.
www.rockstepsolutions.com
IACUC - The Noguchi Memorial Institute for Medical Research
AAALAC - Association for the Assessment and Accreditation of Laboratory Animal Care International
www.abbreviations.com
'의생명공학 > 실험동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험동물 해부 장기 이름과 구조 (0) | 2025.02.11 |
---|---|
실험동물 해부 생리 (0) | 2025.02.10 |